지난해 15~64세 생산연령인구가 처음으로 감소했다. 고령인구의 비중은 14%를 돌파하며 공식적인 ‘고령사회’에 진입했다. 일할 사람은 줄고 부양할 노인은 많아지면서 경제 전반의 활력 저하가 본격화하는 셈인데 생산성 향상을 위한 구조개혁은 더디고 저출산 대책은 표류하며 앞날에 먹구름만 짙어지고 있다.
통계청이 27일 발표한 2017년 인구주택총조사 전수집계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11월1일 기준 생산연령인구는 3,619만6,000명으로 전년 대비 11만6,000명(0.3%) 줄었다. 생산연령인구가 감소세로 돌아선 것은 사상 처음이다. 14세 이하 유소년인구는 지난해에도 13만7,000명 감소하는 등 꾸준히 내리막길을 걷고 있어 생산연령인구는 계속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고령화도 가팔라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중은 14.2%를 기록했다. 지난 2000년 7%를 넘어서며 ‘고령화사회’에 진입한 지 불과 17년 만으로 일본(24년)보다 7년이나 빠르다. 고령인구 비중이 7% 이상이면 고령화사회, 14% 이상은 고령사회, 20% 이상은 초고령사회로 분류된다.
저출산·고령화가 갑작스러운 일은 아니다. 문제는 속도다. 생산연령인구의 경우 2016년 통계청 장래인구추계보다 5만명이나 적었다. 고령화가 초래할 소비·생산 위축 등 경제규모 감소에 대비할 시간도 그만큼 줄었다는 얘기다. 김원규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성장잠재력이 앞으로 크게 떨어질 수 있는 만큼 노동생산성을 끌어올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세종=임진혁기자 liberal@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