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BMW 화재 사태, 추측보다 본질을 봐야

박재용 이화여대 미래사회공학부 연구교수


BMW 화재 사고가 연일 뜨거운 관심을 모으는 가운데 확인되지 않은 자료와 주장들이 난무하며 사태의 본질이 흐려진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범국민적 이슈를 둘러싸고 부정확한 정보들이 실시간으로 유포되면서 오히려 불안과 혼란만 야기한다는 것이다.

지난 22일 홍철호 자유한국당 의원실은 소방청 자료를 인용해 지난 5년6개월 동안 BMW 384대에서 화재가 발생해 1명이 사망하고 7명이 부상을 당했다고 발표했다. 그러자 BMW코리아는 즉각 엔진 부품 결함에 따른 화재 사상자는 없다고 반박했다. 일부 언론이 소방청에 확인한 결과 올해 발생한 사망자 1명은 교통사고였다는 사실이 드러나며 논란은 일단락됐지만 이미 해당 내용은 언론은 물론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을 통해 확산했다. 홍 의원실은 리콜과 관련한 언급이 없어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지만 BMW가 이미 엔진 리콜을 진행하는 상황에서 화재 사상자가 발생했다는 표현은 분명 오해의 소지가 있어 보인다.

비슷한 일은 16일 국토교통부 문건을 해석하는 상황에서도 벌어졌다. 홍 의원실은 “BMW코리아가 배기가스 재순환장치(EGR)뿐 아니라 엔진구조 자체에도 결함이 있다고 국토부에 내부 보고한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지만 국토부는 문서상 표현을 잘못 해석한 부분이 있다며 즉각 해명하기도 했다.


BMW 화재 사고 원인에 대해 많은 국민이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그래서 원인을 추측하는 주장도 많다. 하지만 제기되는 원인과 의혹들이 별다른 검증 없이 무차별적으로 확대·재생산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사고 원인을 지적하고 이를 추적하는 것은 당연하지만 전문가마다 제기하는 원인이 제각각인데다 이러한 원인 또한 추측에 그치고 있어 혼란만 키운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자동차 화재의 경우 소유주는 물론 국민의 안전과 직결되는 중대한 사안인 만큼 세심하게 따져봐야 할 문제임에는 틀림없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사실과 합리적 의심은 배제된 채 무차별적으로 제기되는 주장과 의혹은 도움이 되지 않는다. 정작 중요하게 살펴봐야 할 이슈가 묻힐 수 있기 때문이다. 지금은 무책임한 의혹 제기가 아닌 결함에 따른 화재 원인을 명확히 규명함과 동시에 재발 방지를 위해 제조사에서 어떤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지에 관심이 모아져야 한다. 정작 최대의 피해자는 해당 차종을 보유한 소비자이기 때문이다.

20일 BMW코리아는 3주 동안 98%에 달하는 긴급 안전진단 작업 과정을 마치고 본격적인 리콜 작업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소비자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서비스센터 가동 시간을 늘리고 리콜 부품도 한국에 가장 먼저 공급되도록 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런 일련의 조치를 두고 자동차 업계에서는 전례를 찾아볼 수 없는 사례라는 긍정적 평가도 나오고 있지만 이는 부차적인 것일 뿐 BMW코리아의 사후 조치는 지금보다 정확하고 빠르게 이뤄져야 한다.

동시에 BMW코리아 국내 협력사의 업무 강도가 높아지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소비자가 최우선이지만 여기에 대처하는 서비스센터 직원들의 과로 위험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소비자들의 안전은 결국 서비스센터의 정비 정확도에서 나오기 때문이다. 이미 몇 주간 10만여대를 안전진단한 탓에 피로감을 호소하는 사람들의 목소리에도 귀를 기울이라는 뜻이다.

연이은 화재 사고로 BMW에 대한 국민감정은 좋지 않은 상황이다. 감정에 편승해 분풀이하듯 쏟아지는 의혹들이 당장은 악감정을 해소하고 브랜드 이미지에 타격을 줄지 모른다. 하지만 결국 피해를 입는 것은 잘못된 정보로 혼란을 겪는 소비자다. 불필요한 혼란과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라도 조금 더 냉정하고 균형 잡힌 시선으로 지켜볼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