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여의도·용산 마스터플랜에 이어 저층 주거지를 대상으로 자체적으로 진행하는 도시재생사업지 선정을 보류했다. 앞서 지난 7월 박원순 서울시장이 싱가포르에서 “여의도를 통으로 재개발하겠다”면서 여의도·용산 마스터 플랜추진 의지를 밝혔던 것이 서울 부동산 시장을 안정시키려는 중앙 정부 정책과 엇박자를 냈다는 비판을 의식한 결정이다. 당분간 서울시가 서울 집값 상승을 자극할 우려가 있는 각종 개발사업 추진을 자제할 것이라는 전망에 힘을 실어주는 모습이다.
30일 서울시에 따르면 이번 주 예정돼 있던 서울형 도시재생활성화지역 및 주거환경관리사업 후보 지역 선정이 정부의 도시재생뉴딜사업 대상 지역 발표 이후로 보류됐다. 서울시의 한 고위 관계자는 “국토교통부와 서울 집값 안정을 위해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기 때문에 도시재생뉴딜사업 대상 지역 발표 이후 국토부와 협의하기 위해 심사를 보류했다”고 설명했다.
서울시는 앞서 2016년부터 매년 종로구 창신1·2동 및 숭인1동, 구로구 가리봉동 등 저층 주거지역을 서울형 도시재생활성화지역으로 선정해 현재 14곳이 지정돼 있다. 인구감소나 고령화 등에 따라 지역이 쇠퇴했으나 문화 및 복지 여건 등에서 발전 잠재력을 갖춘 지역이 대상이다. 주민 주도로 노후 주거환경을 개선하는 주거환경관리사업은 2011년부터 시작돼 현재 77곳에서 진행 중이다. 올해는 지난 7월 자치구들의 신청을 접수해 도시재생활성화지역 5곳, 주거환경관리사업 후보 지역 3곳을 선정할 계획이다.
도시재생활성화지역은 5만~15만㎡, 주거환경관리사업지역은 5만㎡ 이하를 각각 대상으로 선정되며 노후 저층 주거지 환경 개선, 주민 공동체 활성화 등의 사업이 진행된다. 서울시는 이번에 선정하는 도시재생활성화지역 1곳당 시 예산 90억 원에 해당 자치구 예산 10억 원씩을 투입해 총 500억 원을 투입한다는 방침이다. 주거환경관리사업 후보지에 대해서는 해당 지역 주민들의 50% 이상 동의를 받아 구역 지정 후 지역별로 예산 30억~40억원 가량을 투입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이러한 자체 도시재생사업은 규모가 크지 않고 노후 저층 주거지 환경 개선이 주요 내용이기 때문에 주변 집값 상승을 자극할 우려가 적다는 입장이다. /박경훈기자 socool@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