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라 빈하씨와 남편 리쿠 우오틸라씨가 핀란드 에스포 시(市)에 위치한 자택에서 인터뷰를 진행하고 있다./에스포(핀란드)=정가람기자
핀란드 수도 헬싱키에서 자동차로 30분 정도 떨어진 에스포 시(市). 빨간 벽돌 지붕의 2층 주택들이 다닥다닥 붙어있는 이곳은 헬싱키의 위성도시다. 로라 빈하씨와 남편 리쿠 우오틸라씨의 집을 방문해 두 아들을 키우면서도 일을 병행할 수 있도록 한 정부의 지원 시스템을 들어보기로 했다.
“핀란드에서는 아이가 3살이 될 때까지 육아 휴직을 쓸 수 있어요. 첫 아이를 낳고 아이가 한 살 반 정도 됐을 때 복직했어요. 그땐 일하는 게 좋아서 휴직기간에도 일주일에 한 번은 출근할 정도였죠.”
빈하씨가 출산 후에도 일에 집중할 수 있었던 데에는 질 좋은 데이케어 센터(Daycare center·보육시설)와 아빠 육아휴직 제도가 한 몫했다.
육아휴직 직후 복직했을 때 남편 우오틸라씨가 곧바로 한 달 정도 육아휴직을 사용해 아이를 돌봤다.
“주변에 있는 아빠들의 절반 정도가 육아 휴직을 사용했어요. 아빠들이 갈수록 육아 휴직을 선호하는 추세죠. 다만 아내들이 10개월 중 많은 기간을 사용하기 때문에 남성들은 평균 한두 달 정도 사용합니다”
육아휴직 동안 부부는 매달 100유로(한화 약 13만 원)의 아동 수당을 받았다. 핀란드 정부는 아이가 18세가 될 때까지 아동수당을 매월 지급한다.
“두 아들 모두 3세가 될 때까지 데이케어 센터에 9시간씩 맡겼어요. 공립은 물론 사립 시설도 정부가 비용의 75% 가량을 지원해주기 때문에 250~290유로만 부담하면 되죠”
이 때문에 핀란드 여성들은 육아휴직으로 인해 경력단절이 되는 사례는 거의 없다. 또 부모가 원한다면 유연 근무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육아로부터 벗어나 오히려 해방감을 느낄 수 있다고 말한다.
“특히 핀란드 모든 기업은 육아휴직 후 복직한 여성들에게 휴직 전과 동등한 직급에 배치해야 할 법적 의무를 갖고 있어요. 따라서 실직이나 승진차별 등에 대한 우려가 적은 편이죠”
아이들과 퍼즐놀이를 하고 있는 리쿠·로라 부부의 모습/정가람기자
다만 빈하씨의 경우 복직의 어려움보다는 자신의 워라밸(Work and Life Balance·일과 삶의 균형)을 찾는 과정에서 적응기간이 필요했다고 한다.
“아이들을 시간에 맞춰 데이케어센터에 데려다 준 뒤 출근하고 데이케어센터 마감 시간에 맞춰서 업무를 끝내고 아이를 곧장 데려와야 하니 효율적인 시간 관리가 필수예요”
맞벌이인 이들 부부는 자연스럽게 육아 및 집안일도 동등하게 배분했다. 아빠와 아이들이 함께 보내는 시간이 많아졌고 가족 간의 유대관계가 더욱 돈독해졌다고 우오틸라씨는 강조했다.
“흔히 휴일이면 아이와 논다고 생각하는데 정말 큰 오산이에요. 엄연히 육아도 일입니다. 가끔 저희끼리는 농담 삼아 육아를 쉬려고 회사에 출근한다고 말할 정도랍니다”
/에스포(핀란드)=정가람기자 garamj@sedaily.com
※이 기사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지원을 받아 작성됐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