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력원자력이 새만금에 건설하는 300MW 수상 태양광은 ‘일석삼조’의 효과를 거둘 것으로 전망된다. 우선 배후 산업단지 개발과 맞물리면서 문재인 정부의 핵심 국정과제인 신재생 산업 발전을 이끌 전초기지가 될 것으로 분석된다. 배후에 들어서는 재생에너지 관련 산업단지 조성은 이미 시동이 걸렸다. 지난달 새만금개발청은 태양광 모듈 및 에너지 저장장치를 만드는 (주)레나인터내셔널과 수상 태양광 부유체를 생산하는 (주)네모이엔지와 투자협약(MOU)를 체결했다. 세계 최대 규모인 300MW 수상 태양광 사업이 돛을 올리면 탄탄한 수요처가 확보되는 만큼 기업과 산업, 연구시설이 집적화된 ‘새만금 신재생에너지 클러스터’ 구축 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해 말 110조원(재정 18조원, 민간투자 92조원)을 쏟아부어 2030년까지 48.7GW의 신재생 에너지 설비를 확충하겠다는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이중 대규모 태양광 설비 규모는 36.3GW에 달한다. 한수원의 새만금 수상태양광이 이 같은 재생에너지 산업을 키울 전초기지 역할을 할 수 있는 셈이다.
수상 태양광이 지지부진한 새만금 개발을 이끌 마중물이 될 수 있다는 기대감도 크다. 지난해까지 기준 새만금 경제자유구역의 외국인 투자실적(누적)은 11억 8,000만 달러에 불과하다. 인천 경제자유구역(104억 6,000만)과 비교하면 10분의 1에 불과한 수준이다. 이 때문에 지난 4월 정부도 새만금·군산 경제자유구역의 구역 지정을 해제하면서 국내 기업에게도 투자 혜택을 줄 수 있는 길을 연 바 있다. 투자유치가 미미하다 보니 전체 3개 구역 중 개발이 진행되는 곳은 1곳에 불과하다. 나머지 구역은 실시계획도 수립돼 있지 않고 사업시행자도 아직 찾지 못했다.
갈 길을 찾지 못하고 있는 시중 부동자금의 투자처도 역할도 할 수 있다. 우선 한수원의 새만금 수상 태양광 사업 규모는 5,000억원을 훌쩍 넘길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기준 우리나라 태양광 발전사업의 평균 직접투자비(CAPEX)는 1㎾당 154만 7,000원(3MW 이상 시설기준) 가량. 단순 셈법으로 300MW 규모는 태양광 모듈과 나머지 시설을 짓는 데만 4,641억원이 든다. 여기에 해상이라는 점과 환경영향평가로 인해 사업기간이 늘어나는 것 등을 비롯해 유지비 등을 포함하면 전체 사업비도 최소 5,000억원 수준까지 올라설 수밖에 없다.
문재인 정부 3020 계획으로 대규모 태양광의 사업성도 크게 개선됐다. 특히 수상 태양광은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가중치가 1.5로 3MW 이상 일반 부지 태양광(0.7)보다 두 배 이상 높다. 예를 들어 시간당 계통한계가격(SMP)가 1kwh당 100원, REC 가격이 100원이라고 가정하자. 전력 판매수익은 SMP와 REC 가격에 가중치를 곱한 값을 더해서 결정된다. 각각의 가중치를 단순 적용해 계산하면 1kwh당 판매수익은 육상 태양광이 171원에 불과한 반면 해상 태양광은 251원에 달한다. 수상 태양광의 판매수익률이 50% 가까이 높은 셈이다.
월성 1호기 조기폐쇄와 신규 원전 4기 백지화 등의 영향으로 경영상태가 악화한 한국전력의 사정을 감안하면 사업비도 금융시장에서 조달할 가능성이 높다. 한국전력은 올해 2·4분기 6,871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하면서 적자 전환했다. 영업으로 벌어들이는 돈도 크게 줄었다. 지난해 11조2,499억원에 달했던 한전의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도 올 상반기 3조4,244억원으로 쪼그라들었다. 금융투자업계의 한 관계자는 “5,000억원이 넘는 사업이 될 수 있는 만큼 사채를 발행하거나 여의치 않을 경우 투자은행 등을 통해 자금을 조달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김상훈기자 ksh25th@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