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영업 줄폐업 휘청이는 핵심상권] "경기 안좋아도 종로·강남은 버텼는데...상권이 죽었다"

최저임금에 주52시간 직격탄 "하루가 멀다하고 사업자들 떠나"
"손님 한두명 올까말까" 한숨...부부운영 늘고 영업일 단축도
중고용품 업체는 '때아닌 호황' 폐업재기지원 문의도 줄이어

2일 서울 종로의 한 매장 앞에 임대문의 안내문이 붙어 있다./권욱기자

종각역 인근에 자리한 미려빌딩은 안과와 약국이 입점한 피아노 거리의 대표적인 상업 빌딩이다. 3일 서울경제신문 취재진이 찾은 미려빌딩의 1층은 유리문 전체를 임대 문의 번호로 도배한 상태였다. 미려빌딩의 건너편에 자리 잡은 대부분의 상업 빌딩들도 사정은 비슷해 1층을 비롯한 저층들이 대부분 공실로 남아 있는 상태였다. 종로2가에서 액세서리 매장을 운영하는 김길수(가명) 씨는 “하루가 멀다 하고 떠나는 사업자들이 줄을 잇고 있다”면서 “경기가 아무리 안 좋아도 종로만큼은 버텨줬는데 이제는 서울의 대표 상권이라는 말 자체가 무색하게 됐다”며 담배를 꺼내 물었다.

‘자영업자의 몰락’이 가속화되고 있다. 매년 치솟는 임대료와 심화되는 불경기, 여기에다 급격한 최저임금 인상까지 겹치면서 자영업자들은 더 이상 물러날 곳이 없다며 최후의 선택지인 폐업에 나서고 있다. 전통적인 상권으로 분류되는 종로와 명동·강남역은 물론 신흥상권인 합정·상수·신사역 등도 활기를 잃어가고 있다.

서울경제신문 취재진이 만난 자영업자들은 비용 부담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는 말을 가장 먼저 꺼냈다. 그중에서도 인건비를 꼽는 이들이 대부분을 차지할 정도로 최저임금 인상의 후폭풍은 거셌다. 명동에서 분식집을 5년째 운영하고 있다는 최만호(가명)씨는 “직원들에게 월급을 주고 나면 한 달에 200만원도 채 남지 않아 지난여름부터는 그나마 있던 직원들을 내보내고 아내와 함께 가게에 매달리고 있다”며 “상권이 활기가 있어야 유동인구가 많은데 오가는 손님이 없다 보니 평일 낮에는 거의 파리만 날리고 있다”며 한숨을 내쉬었다. 실제로 핵심 상권의 소규모 식당들은 인건비 절감을 위해 직원 없이 사장 부부만 나와 있는 곳이 제법 많이 눈에 띄었다. 3년 전부터 종로에서 보세 의류를 판매하고 있는 김지연(가명)씨는 “하루종일 가게를 지키고 있어도 퇴근길에 손님 한두 명 올까 말까 할 정도로 상권이 죽었다”며 “임대료를 내고 나면 오히려 적자라 사업을 접고 월급을 받을 수 있는 일자리를 알아보려고 한다”며 가게 앞에 놓인 ‘폐업정리’ 팻말을 어루만졌다. 이상혁 상가정보연구소 선임연구원은 “종로나 명동·강남 등은 권리금 몇 억원씩 내고 들어와도 손해 보는 일이 거의 없었지만 이제는 그런 자리조차 폐업을 반복하는 중”이라며 “목 좋은 빌딩일수록 시
2일 서울 종로의 한 매장 앞에 폐업정리 안내문이 붙어 있다./권욱기자

세차익을 노리는 투자자들이 대거 진입해 있어 이미 오를 대로 오른 임대료가 쉽게 떨어지기는 어려워 보인다”고 내다봤다.

상대적으로 부촌이 몰려 있는 강남 상권도 사정이 어렵기는 마찬가지다. 교보타워 사거리의 한 축에 자리한 건물 1층은 9호선 신논현역 바로 앞(1번 출구)이라는 이점에도 새 임차인을 찾지 못했다. 같은 역 3번 출구 지하상가에 입점해 있던 화장품 가게는 몇 달간 할인 이벤트를 진행하더니 간판만 남기고 떠났다. 6번 출구 앞 빌딩 1층도 임대문의 현수막과 부동산 명함만이 오가는 이들을 맞았다.


신논현역 근처에서 7년 동안 카페를 운영했다는 김경숙(가명)씨는 “유동인구가 많은 강남의 경우 카페가 밀집해 전통적으로 동종 업종 간 경쟁이 치열하다”면서 “올해는 최저임금 인상으로 인건비 부담까지 커지면서 저가 원두를 사용하는 카페까지 생기고 있다”고 말했다. 김씨는 “저가 원두 사용으로 경쟁력을 잃어버린 카페들이 문을 닫고 그 자리는 새 주인을 찾지 못해 공실로 남아 있다 보니 주변 상권이 같이 죽고 있다”고 덧붙였다. 논현역 인근에서 9년째 음식점을 하고 있는 신광식(가명)씨는 “처음 문을 열었을 때는 우리 블록에 음식점이 3곳 정도였는데 지금은 20곳이나 된다”며 “식당이 많아도 지난해까지는 어떻게든 버텼는데 올해 여름부터는 근로시간 단축으로 회식 손님이 뚝 끊어지면서 한 달에 영업일이 25일에서 18일 정도로 확 줄었다”고 쓴웃음을 지었다.

핵심 상권에서 벗어난 곳은 더욱 매서운 바람이 불고 있다. 논현동 가구거리 상권에서 멀지 않은 7호선 학동역 인근은 잠시만 걸어도 이가 빠진 상권이 눈에 들어왔다. 학동역 8번 출구 반경 200m 이내에는 미용실과 순댓국 전문점, 약국, 24시간 숙성 한우 전문점까지 네댓 곳이 점포 이전과 임대 문의 딱지를 붙여놓고 있었다.

2일 서울 중구 황학동 주방용품 거리에서 관계자들이 폐업 점포에서 나온 업소용 조리 기구와 용품들을 정리하고 있다./권욱기자

때아닌 호황을 누리는 곳도 있었다. 식당이나 카페 등 소매 및 음식점 폐업이 늘자 중고 주방용품을 거래하는 곳에서는 일손이 부족하다며 행복한 비명을 지르고 있다. 서울 종로 황학동의 중고용품 전문 H사는 하루에도 30~40건씩 폐업 견적을 내고 비품을 가져가 달라는 문의가 들어온다고 한다. 기자가 방문한 H사 매장은 폐업한 식당 등에서 가져온 물품이 너무 많아 도로에 내다 놓고 영업을 하고 있었다. 최진규(가명) 대표는 “예전에는 권리금을 포기할 수 없어 업종을 변경하는 분들이 많았지만 최근에는 버티다 못해 보증금과 권리금 모두 포기하고 장사를 접고 떠나는 이들이 많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폐업재기지원 업체를 운영하는 고경수 폐업119 대표는 “올해는 폐업 컨설팅을 신청한 이들이 지난해에 비해 30%나 늘었다”며 “소비가 쪼그라든 상태에서 과당 경쟁이 일어나고 여기에 최저임금 상승까지 더해지니 ‘불난 집에 기름을 쏟아 부은 격’으로 총체적 난국”이라고 말했다.

업종별 최저임금 차등화와 소상공인의 공동 사업 활성화 등 구체적인 대안 마련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김용진 서강대 경영학과 교수는 “지난 8월에 발표된 당정대책에서도 최저임금·근로시간 단축 등에 따른 비용 보전에 대한 얘기만 나왔을 뿐 실질적으로 자영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방안은 전혀 나오지 않았다”며 “최저임금 차등화를 통해 자영업자의 노동생산성과 비용 사이의 불일치를 극복하고 프랑스와 독일처럼 협동조합형 프랜차이즈를 조성해 각자도생에 빠질 수밖에 없는 소상공인이 공동으로 제작·브랜드화·물류까지 도모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고 짚었다. /이수민·김연하·허세민기자 noenemy@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