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는 이를 어떻게 실천할 것인가다. 지금 세계는 4차 산업혁명의 주도권을 잡기 위해 사활을 걸고 있다. 미국과 일본·독일·중국은 자율주행차와 로봇·드론 등의 분야에서 이미 우리보다 저만치 앞서 가고 있다. 우리도 더 이상 머뭇거릴 시간이 없다. 하지만 좀처럼 진척되지 않아 답답하다. 이날 일자리위원회가 내놓은 투자지원 방안도 5월 산업통상자원부가 이미 발표한 것의 재탕이다. 그마저도 신산업 태동에 반드시 필요한 규제개혁 내용은 별로 보이지 않는다. 성장성이 무궁무진한 바이오·헬스만 하더라도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 등만 언급됐을 뿐 정작 중요한 의료 데이터 활용은 제외됐다. 원격의료도 이해관계자들의 눈치를 보느라 입법작업이 차일피일 미뤄지고 있다. 이래서는 신산업 태동을 기대하기 어렵다.
그러잖아도 국내 기업들은 경영환경이 불확실해지자 설비투자를 줄이고 현금보유를 늘리는 등 긴축경영 조짐을 보이고 있다. 이런 때 규제개혁마저 지지부진하면 미래 대비는 어려워질 수밖에 없다. 이목희 일자리위 부위원장이 밝힌 대로 일자리 창출 관련 사안을 전향적으로 검토할 뜻이 있다면 투자를 막고 있는 규제부터 과감하게 풀어줘야 한다. 경쟁국들이 앞서 가고 있는데 우리만 생색내기식 규제개혁에 그친다면 기업들이 새로운 산업에서 설 자리를 확보하기는 쉽지 않다. 그렇게 되면 이 정부가 그토록 바라 마지않는 일자리 창출도 물 건너갈 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