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희진 강남차병원 교수 "습관성 유산·임신중독증도 전문치료로 출산 기쁨 누릴수 있죠"

여러 진료과 전문의 유기적 협진으로 가능

“습관성 유산, 중증 임신중독증, 양수 파열에 따른 감염 등은 임신부와 태아 모두의 생명을 위협하거나 유전질환의 대물림을 초래하는 등 큰 고통을 안겨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전문적·집중적인 검사·치료를 받으면 출산의 기쁨을 누릴 수 있습니다.”

박희진 차의과학대 강남차병원 산부인과 교수(수석과장)는 “고위험 임산부·신생아 집중치료실을 갖춘 산부인과 전문병원이자 다양한 진료과 전문의들과 유기적인 협진이 가능한 종합병원이기 때문에 가능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박희진 차의과학대 강남차병원 산부인과 교수(수석과장)

A씨는 임신 20주를 못 넘기고 두 번 유산한 뒤 습관성 유산(확률 약 1%) 검사를 받았다. 염색체 이상이 발견됐고 유전병 가족력도 확인됐다. 강남차병원 의료진은 착상 전 유전진단이 가능한 시험관 시술을 권했다. 난자와 정자를 시험관에서 수정시켜 수정란이 8개 세포로 분열될 때까지 키워 1~2개를 떼어내거나 포배기까지 키운 뒤 여러 개의 세포를 채취해 염색체 이상 여부를 검사하면 건강한 수정란을 자궁에 이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임신 이후 시행하는 융모막 검사(임신 10~12주)나 양수검사(임신 16~18주)와 달리 유전질환의 대물림을 끊을 수 있다. A씨는 건강한 딸을 출산했다.


B씨는 중증 임신중독증(임신성 고혈압) 때문에 첫 아이를 임신 39주에 응급 제왕절개수술로 출산했다. 그래서 둘째 임신 32주부터 최신 임신중독증 조기예측 검사(태반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인 SFlt-1/PLGF 비율 검사)로 모니터링하다 수치가 올라가자 임신중독 증상이 나타나기 전인 37주에 제왕절개로 둘째를 출산했다. 임신중독증이 B씨와 태아 모두에게 위험하기 때문이다. 임신중독증은 △임신부에게 폐 쪽에 물이 차는 폐부종, 콩팥·간 기능 이상, 두통, 상복부 동통, 시야 장애 등을 △태아에게 혈류부족으로 인한 심한 저체중과 태반·자궁박리→응급 제왕절개수술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 혈관 수축에 따른 고혈압이 심한 경우 경련(전자간증)을 일으켜 둘 다 위험해질 수도 있다.

C씨는 임신 16주에 양수가 새기 시작했다. 자궁에 염증·감염이 생기면 태아와 산모 모두 위험해지기 때문에 임신상태를 유지할 수 없다. 그래서 임신 중 쓸 수 있는 광범위 항생제를 쓰면서 염증·감염이 안 생기게 철저하게 관리했다. 이 경우 보통 태아의 폐가 성숙하는 임신 34주까지 끈 뒤 유도 분만하거나 제왕절개수술을 한다. 언제 감염 증상이 나타날 지 모르고 더 끌 경우 합병증 위험도 커지기 때문이다. 34주 전에 갑자기 감염 증상이 나타나면 대부분 제왕절개수술로 응급분만시킨 뒤 신생아중환자실에서 항생제 치료 등을 하며 집중 관리한다.

D씨는 임신 16주께 태반을 공유하는 단일 융모막 쌍태아(일란성 쌍둥이)가 심각한 합병증인 ‘쌍태아 수혈증후군’을 앓고 있다는 진단을 받았다. 일란성 쌍태아의 5~10%에서 발생하는데 둘 사이에 연결된 혈관을 통해 한 태아의 혈액이 다른 태아에게 비정상적으로 이동, 둘 다 위험해질 수 있다. 심한 경우 영양·산소 공급원인 혈액을 주는 태아는 모자란 혈액보충을 위해 소변 생성을 멈춰 소변으로 이뤄지는 양수가 줄어 저산소증으로 뇌손상을 입거나 사망할 수 있다. 혈액을 공급받는 태아는 초과 혈액으로 소변 생성량 증가, 양수과다증 등이 생겨 태아부종·심부전으로 사망할 수 있다. 빠른 임신시기에 발병하거나 심한 경우 두 태아 모두 사망할 확률이 90%에 이른다.

박 교수는 “18주께 태아 내시경으로 쌍둥이의 혈관이 연결된 부위를 확인하고 레이저로 끊어줘 비정상적 혈액 흐름을 차단했다”며 “쌍둥이는 35주를 채우고 2.36㎏, 1.58㎏으로 태어나 신생아 집중치료실에서 각각 2주, 4주가량 지내다 건강하게 퇴원했다”고 말했다.
/임웅재기자 jaelim@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