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왼쪽)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2일(현지시간) 인도네시아 발리 웨스틴호텔에서 스티븐 므누신(오른쪽 두번째) 미 재무장관과 회담을 하고 있다. 미국은 다음주에 환율조작국을 지정하는 환율보고서를 발표할 예정이다. /연합뉴스
한국투자신탁운용 솔루션펀드
신한BNP자산 커버드콜 펀드 등
지수하락 방어상품에 뭉칫돈 쏠려
변동성 영향 적은 헤지펀드도 찾아
그야말로 투자 시계 제로다. 국내증시가 연이틀 최저치로 폭락하자 증권 투자자들은 패닉에 빠졌다. 미국 금리 인상과 미중 무역분쟁으로 중국 등 신흥국 펀드 역시 올 들어 수익률이 모두 마이너스일 정도로 심각하다. 유일한 버팀목이었던 미국과 일본마저 지난 11일 증시가 급락하면서 올해 수익률을 모두 토해냈다. 한국은행의 금리 인상이 기정사실화하면서 채권시장에서도 자금이 이탈하고 있다. 부동산자금 역시 올스톱이다. 은행에서 잠자는 돈은 늘어나고 돈의 유통속도는 통계 집계 이후 최저치로 떨어졌다. 투자자들은 금리를 포기하고 은행 수시입출금 상품이나 증권사의 단기채에 그저 돈을 ‘보관’하면서 투자시기만 저울질한다. 넘치는 유동성에 투자가 일시 정지돼 자금이 어디로 튈지 모르는 상황이다.
자금이 갈 곳을 잃었다. 몇 년간 계속된 저금리로 시중에 유동성은 흘러넘치지만 이들 자금을 흡수할 수 있는 마땅한 투자처가 없다. 그러다 보니 자금 정거장인 단기채나 머니마켓펀드(MMF) 등 단기 상품에 돈을 보관하려는 수요만 늘고 있다. 단기채시장에는 미중 무역분쟁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3개월 사이에 6,000억원 가까이 유입됐다. 상반기까지 부동산시장에 추격매수로 자금이 몰리는 듯했지만 9·13대책으로 부동산으로 쏠리던 퇴로도 막혔다. 주식과 펀드 등 자본시장은 더욱 살벌하다. 국내 주식형펀드의 연초 이후 수익률은 -12%다. 특정 종목 주식과 펀드 투자가 오히려 독이 되는 시대다.
돈은 은행에서 잠자고 펀드시장에서도 투자 대신 단기채펀드에 정차돼 있다. 돈이 돌지 않는 것이다. 돈의 유통속도를 보여주는 통화승수율은 7월 기준 15.88배로 통계 집계 이후 사상 최저치다. 장롱에서 잠자고 있는 돈이 가장 많다는 얘기다.
그동안 아파트 가격을 천정부지로 끌어올린 요인 중 하나는 시중 부동자금이었다. 9·13대책 이후 주택시장으로 자금이 유입되는 속도는 눈에 띄게 둔화됐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8월12일부터 9월12일까지 전국 아파트 거래 총액은 22조8,300억원인데 9·13대책 이후 이달 12일까지 한 달간 거래 총액은 3조8,000억원으로 줄었다. 같은 기간 서울 아파트 거래 총액도 8조3,000억원에서 4,183억원으로 20분의1 토막이 났다. 한은이 이르면 10월과 11월 금리 인상에 나선다면 부동산시장은 지금보다 더 한기가 돌 것으로 보인다. 자금 흡수처 역할을 못한다는 것이다.
주식시장에서의 투자 행태도 달라지는 모습이다. 투자자들은 이제 ‘수익률 몇%’가 아니라 내 자금이 안전한지가 더 중요해졌다. 수익 추구에서 ‘자금 지킴이’로 전략을 수정하는 모습이다. 일반인들도 지수변동에 덜 민감한 헤지펀드로 관심의 폭을 넓히고 있다. 헤지펀드는 주가지수에 따른 변동성이 덜하지만 최소 진입장벽이 1억원으로 자산가들만의 리그로 통했다. 이 헤지펀드의 문턱을 500만원으로 낮춘 사모재간접공모펀드는 생소한 투자방식 때문에 지난해 5월 첫 상품이 출시됐지만 시장에서 큰 반응이 없었다. 하지만 최근 한 달간 300억원이 몰려 전체 설정액(1,924억원)의 20% 정도가 유입됐다. 콜옵션과 풋옵션을 동시에 걸어 어떤 주가변동성에서도 수익률을 방어한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운용사들도 변동성이 큰 시기에 꾸준한 수익을 낼 수 있는 상품에 주목한다. 한국투자증권이 콜옵션과 풋옵션을 동시에 매도하는 양매도 ETN을 내놓은 뒤 신한금융투자도 이 대열에 합류했다. 베트남펀드·한국형4차산업펀드 등 특정 지역과 종목으로 히트를 했던 한국투자신탁운용 역시 ‘한국투자코스피솔루션증권투자신탁’을 내놓았다. 투자상품 암흑기에 출시해 한 달여 만에 350억원을 모았는데 이례적이라는 평가다. 하락기 방어 상품인 신한BNPP커버드콜펀드에도 3개월 새 90억원 가까이가 몰렸다.
/김보리·한동훈기자 boris@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