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파식적] 인공 달


‘오로라의 나라’ 노르웨이의 작은 남부 도시 리우칸. 협곡 깊은 곳에 위치한 이곳은 10월에서 이듬해 3월까지 1년 가운데 반 년 이상 햇빛이 들지 않는 암흑도시였다. 마을 주민들은 우울증에 빠지지 않기 위해 매일 케이블카를 타고 산꼭대기에 올라가 볕을 쐬고 내려와야 했을 정도다. 그래서 모든 주민들의 소원은 ‘따스함을 누리고 싶다’는 것이었다. 2013년 마침내 그 바람이 이주 정착민인 프랑스 설치미술가 마르틴 안데르센에 의해 이뤄진다.

그는 모금활동으로 모인 9억원을 들여 400m 높이의 산 위에 대형 거울 3개를 설치했다. 원리는 햇빛을 반사해 마을로 전달해주는 것. 센서가 달려 있어 컴퓨터로 미세 조정되는 거울은 태양의 움직임에 따라 마을 광장에 정확하게 햇빛을 반사했다. 빛이 마을 광장에 비친 첫날 주민들이 광장에 모여 축제까지 펼쳤다고 하니 기쁨이 어떠했을지 짐작할 만하다.


태양 빛을 활용해 어둠을 밝히려는 시도는 이보다 전인 1990년대부터 있어왔다. 1993년 2월4일 러시아가 쏘아 올린 위성에 설치된 거울이 지구로 태양광선을 반사해 내려보냈다. 이 거울은 알루미늄 코팅 플라스틱 필름으로 만들어진 직경 20m짜리 원반형 물체로 마치 둥근 달처럼 보였다. 여기서 반사된 보름달 4배 정도 밝기의 태양 빛이 잠시나마 유럽 일부를 환하게 했지만 아쉽게도 얼마 안 돼 지구궤도 대기 중에서 불타 사라져버렸다. 당시 인공 달로 인한 빛 공해 발생과 낮 시간 연장이 동식물 생태계를 교란시킬 수 있다는 논란이 일기도 했다.

러시아는 1995년과 지난해에도 이른바 ‘즈나먀(깃발)’ 실험을 계속했다. 지난해 7월 발사된 마야크(Mayak) 위성은 기술상의 문제로 궤도상에서 태양 반사판을 펴지 못했다.

중국도 ‘인공 달 띄우기’에 가세한다는 소식이다. 영국 가디언 등에 따르면 중국이 조명위성을 우주에 띄워 거리조명을 완전히 대체하는 프로젝트에 착수했다. 위성을 정지궤도에 올려 미리 장착한 원형 반사체를 우산 펴듯이 펼쳐 태양 빛을 지상으로 반사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반경 10~80㎞ 지역의 밤거리를 보름달 8배 밝기로 환하게 비출 것이라고 한다. 중국이 수년간 충분한 기술을 축적해왔다며 프로젝트 성공을 자신하지만 예측은 힘들다. 실패하더라도 인공 보름달을 매일 밤 보려는 인간의 도전은 멈추지 않을 것 같다. /임석훈 논설위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