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인구이동 45년만에 최저’ 경제위축 결과다

지난달 우리나라 국민들이 거주지역을 옮긴 인구이동이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21.8%나 줄었다. 통계청이 24일 발표한 ‘9월 국내 인구이동’에 따르면 지난달 국내 이동자 수는 46만2,000명에 그쳤다. 이는 9월 기준으로 1973년의 37만8,000명 이후 가장 적다. 전월 대비 감소율로 보더라도 1988년의 27.4% 이후 30년 만에 최대폭이다.


이를 두고 정부는 지난해 10월이었던 추석이 올해는 9월로 옮겨진 기저효과에다 9·13부동산대책으로 주택매매가 급감했기 때문이라고 판단하는 모양이다. 정부 설명처럼 추석과 부동산대책의 영향이 있지만 이는 단편적인 분석이다. 추석이 9월이었던 2014~2016년에도 이동이 55만명 수준이었던 점을 고려하면 설득력이 약하다. 전례 없이 인구이동이 급감한 것은 전반적인 경기 위축의 결과로 보는 게 맞다.

통상 인구이동은 경기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경제가 활기를 띠면 산업도시로의 인구이동이 늘어난다. 그 영향으로 부동산 가격도 오르면서 소비가 늘고 경기가 좋아지는 선순환 효과가 나타난다. 그동안 인구이동이 많았던 울산과 거제·포항·광양 등이 대표적이다. 하지만 자동차·철강·조선 등 주력산업이 선진국의 견제와 중국의 추격으로 위기를 맞으면서 이들 산업도시의 경제가 냉각되자 인구이동도 눈에 띄게 줄었다. 젊은 층을 중심으로 일자리를 찾아 아예 해외로 나가는 인구가 급격하게 늘어나는 추세다.

생활형편이 나아지지 않고 앞날마저 불투명한 탓에 출산율도 매월 바닥을 치는 상황이다. 8월 국내 전체 출생아 수가 2만7,000명으로 역대 최저치로 떨어진 가운데 대표적 산업도시인 울산의 경우 700명으로 17개 특별·광역시도 중 세종·제주를 제외하면 꼴찌다. 지금은 서막에 불과할지 모른다. 앞으로 더 큰 충격이 올 가능성이 있다. 일시적 현상이라고 가볍게 넘기지 말고 경각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손 놓고 있으면 ‘활력 잃은 대한민국’을 피할 길이 없다. 이제라도 청년 일자리 비전을 제시하는 등 역동적인 사회로 반전시키기 위한 방안을 서둘러야 한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