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 회의실 찾아주고 단순 보고서 작성도 척척…로봇·AI로 업무효율 높인 LG전자

12개군 120개 업무에 RPA 도입
사무직 업무량 月 3,000시간 절약

#LG전자(066570)의 직원 A씨는 로봇프로세스자동화(RPA) 덕분에 단순 보고서 업무에서 벗어났다. 과거 e메일로 받은 각 법인의 매출실적을 취합하고 환율 등을 보고서에 일일이 기입했지만 이제는 로봇이 자동으로 수치를 집계하고 보고서를 작성해 담당자에게 e메일 발송까지 해준다.


LG전자는 올해 초 영업·마케팅·구매·회계·인사 등 12개 직군의 총 120개 업무에 RPA 기술을 도입했다고 31일 밝혔다. RPA는 로봇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사람이 처리해야 하는 반복적이고 정형화된 업무를 자동화하는 기술이다. 데이터를 취합하고 정리하는 단순 작업에 드는 시간을 월 3,000시간까지 절약할 수 있다는 게 LG전자 측의 설명이다.


이번에 RPA가 도입된 업무는 각 부서에서 자동화가 필요하다고 요청한 업무들이다. 이에 따라 직원들의 만족도도 특히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LG전자의 한 관계자는 “직원들은 데이터 조회와 정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여 문제를 분석하고 해결하는 등 보다 가치 있는 일에 집중할 수 있다”고 말했다.

LG전자는 인공지능(AI) 기술 또한 사무직 업무에 활용하고 있다. AI가 거래선 채권의 부도 위험을 사전에 알려주는 모니터링 시스템이 대표적이다. 올해 초부터 활용된 이 시스템은 지난 3년간 발생한 채권의 부도 사례를 분석해 부도 위험을 사전에 감지하고 관리할 수 있게 해준다. LG전자는 이 시스템으로 올해 부도난 채권의 65%를 예측했다고 밝혔다.

이는 최근 LG전자가 업무 효율성을 높이는 조직문화를 만들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해온 것의 연장선이다. LG전자는 월요일을 ‘회의 없는 날’로 정해 회의 준비 때문에 주말에 출근하는 일이 없도록 했다. 격식에서 벗어나 유연한 업무가 가능하도록 캐주얼데이를 주 5일로 확대 운영하기도 했다.
/박효정기자 jpark@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