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우리나라에서 태어난 아이 20명 중 1명은 부모 한쪽이 외국인(귀화자 포함)인 다문화 가정 아이로 조사됐다. 6년 연속 감소하던 다문화 혼인 건수는 7년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신부가 외국인인 경우 베트남 출신이, 신랑은 중국 출신이 각각 가장 많았다.
통계청이 23일 발표한 ‘2017년 다문화 인구동태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다문화 결혼은 2만1,917건으로 2016년보다 208건(1%) 증가했다. 다문화 결혼은 지난 2010년 3만5,098건에서 2016년 2만1,709건까지 6연 연속 감소하다가 지난해 소폭 증가했다. 한국인 간 결혼이 지난해 24만2,538건으로
<자료 : 통계청>
전년 대비 6.7% 감소하면서 전체 혼인에서 다문화 결혼이 차지하는 비중은 8.3%로 0.6%포인트 상승했다.
지난해 다문화 가정에서 태어난 출생아는 1만8,440명으로 한 해 전보다 991명(5.1%) 줄었다. 전체 출생에서 다문화 가정 출생이 차지하는 비중은 5.2%로, 통계청이 관련 통계 작성을 시작한 지난 2008년 이후 가장 컸다. 김진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전체 한국 출생아 자체가 워낙 큰 폭으로 감소해 다문화 출생 비중이 늘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한국인 부모 사이에서 태어난 출생아는 12.3% 급감했다.
다문화 가정을 이루는 유형으로는 ‘아내가 외국인’인 경우가 65%로 가장 많았고, ‘남편이 외국인’(19.6%), ‘어느 한 쪽이 귀화자’(15.4%) 순이었다. 외국 출신 아내의 국적은 베트남이 27.7%로 가장 많았고 중국(25%), 태국(4.7%) 순이었다. 남편 국적은 중국이 10.2%로 가장 많았고, 미국(6.4%), 베트남(2.7%) 순으로 많았다.
/세종=한재영기자 jyhan@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