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에세이] 요통은 피할 수 없다

정천기 서울대병원 신경외과 교수


요통은 매우 흔하다. 전체 인구 10명 중 2~3명이 현재 요통을 경험하고 있다. 의료기관을 방문하는 원인 중 감기 다음으로 많다.

그런데 요통이 심할 때 침을 맞는 게 좋은지, 물리·도수·약물·주사치료나 수술 중 하나 또는 몇 가지를 함께 받는 게 좋은지를 둘러싼 견해는 매우 다양하다. 적절한 치료방법과 효과에 대한 주장이 상충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통증이 재발할 경우 지난번 치료가 오히려 해를 끼치지 않았는지에 대한 답을 구하기도 쉽지 않다. 척추 관련 연구를 해온 필자도 이런 의문에 대해 정답을 가지고 있다고 하기 어렵다. 하지만 일반적인 몇 가지 원칙을 피력하고자 한다.

척추는 우리 몸을 움직이는 기둥이다. 방·거실 바닥에 앉지 않고 누워서 TV를 보지 않는 것만으로도 척추 중 허리와 목에 가는 부담을 많이 줄일 수 있다.

척추는 여러 개의 분절로 돼 있어 움직이는 데 좋지만 오랫동안 사용하다 보면 분절들을 묶는 힘이 약해져 따로 놀 수 있다. 가장 중요한 원인은 추간판(디스크)의 퇴행성 변화다. 이로 인해 요통이 생기고 심하면 신경이 눌려 다리까지 아프게 된다.


통증이 아주 심하다면 통증을 가장 참을 만하게 만들어주고 부작용이 적은 치료방법을 선택하는 게 좋다. 그런데 통증의 정도와 감수성은 개인마다 많은 차이가 난다. 통증은 대개 시간이 지나면 저절로 줄어든다. 침과 물리·도수·약물·주사치료는 통증 경감 효과에 큰 차이가 없다.

그래서 필자는 우선 부작용이 적고 장기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약물·물리치료를 권한다. 별 효과가 없으면 주사치료 등을, 계속 아프거나 신경이 크게 고장 나 다리를 움직이기 어렵다면 수술을 고려한다.

수술은 다른 치료방법에 비해 아주 심한 통증을 6개월 정도 줄여주는 효과가 훨씬 좋다. 다만 통증은 시간이 지나면 저절로 감소할 수 있으므로 수술의 통증 감소 효과는 제한적이다. 수술이 필요할 정도로 통증이 심한 경우에도 다른 방법은 없는지, 수술을 하면 완치되는 것인지 결정하기가 어렵다. 수술을 권유받은 환자들도 “수술을 안 하면 안 낫느냐”고 묻고는 한다. 물론 수술을 안 해도 시간이 지나면 통증이 줄어들 수 있고 수술을 한다고 완치된다는 보장이 있는 것도 아니다.

결국 확률을 따지게 된다. 척추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에게 수술을 할지, 비수술치료를 할지는 원상복구·회복 가능성을 비교해 결정한다. 수술로 원상복구·회복될 가능성이 70%, 수술을 하지 않고 회복될 가능성이 30%라면 수술을 권할 수 있다. 하지만 그 차이가 작아 결정이 어려운 경우도 적지 않다. 게다가 통증의 원인이 노화에 따른 퇴행성 변화라면 재발을 피할 수 없다. 수술 또는 비수술로 현 상태를 개선할 수는 있지만 길게 보면 척추의 상태는 계속 나빠질 수밖에 없다. 지속적인 퇴행성 변화를 막거나 없앨 수는 없다.

따라서 수술은 급한 불을 끄기 위한 치료방법이라고 생각하는 게 현실적이고 합리적이다. 척추의 퇴행성 변화로 생기는 통증 등 다양한 문제를 시술·수술·진통제로 모두 없애려 한다면 더 나쁜 상황을 초래할 가능성이 크다. 척추의 퇴행성 변화와 이에 따른 통증은 피할 수 없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척추 통증은 치료로 완전히 없애야 하는 대상이라기보다 일상생활이 가능한 정도로 관리·조절할 대상으로 보는 게 장기적으로 유리하다. 척추는 나이가 들수록 고장이 많아지므로 더 빨리 나빠지지 않게 하는 것도 중요하다. 척추 문제가 심각할 때 그에 대한 해결도 시간 흐름을 보면서 모든 해결책이 제한된 성적을 가지고 있다는 이해를 바탕으로 합리적 결정을 하면 좋겠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