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초’ 가능성까지 거론됐던 ‘광주형 일자리’ 사업이 급물살을 타고 있다. 광주시는 5일 예정된 광주시 노사민정협의회(이하 협의회)에서 그동안 현대차와 논의한 내용과 협상 경과 등을 보고하고 협의회의 공동 결의안을 만들 예정이다. 이후 현대차와 최종 협상을 진행해 6개월간 끌어왔던 ‘광주형 일자리’ 사업을 최종결정하기로 했다.
사실상 타결이라고는 하지만 현대차는 너무 앞서 나가고 있다는 입장이다. 현대차 관계자는 “현대차의 입장을 들은 광주시가 협의회에서 안을 내놓고 노사민정 대표들이 의결해 최종안을 마련한 뒤 마지막 협상을 해야 한다”며 “현재 상황에서 협상 결과를 더 지켜봐야 한다”라고 말했다.
현대차가 부인하고 있지만 광주시와 현대차 안팎의 기류를 보면 어느 정도 합의가 된 것은 사실로 보인다. 지난달 27일 지역 노동계가 시 협상단에 현대차와의 협상 전권을 위임한 뒤 현대차의 요구가 상당 부분 반영됐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현대차는 최초 제안한 조건이 아니면 사업성이 없다는 입장을 줄곧 고수해왔다”며 “협상에 진전이 있었다는 얘기는 적어도 현대차의 요구가 받아들여졌음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일단 광주형 일자리 사업이 큰 산을 하나 넘기는 했지만 여전히 해결해야 할 문제가 적지 않다. 가장 큰 걸림돌은 역시 현대차 노조다. 현대차 노조는 이날 광주형 일자리 사업이 최종 협상 단계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지면서 강력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당장 이르면 6일 전면 파업에 돌입할 것이라는 입장도 밝혔다. 노조는 5일 오후 확대운영위원회를 열고 파업 일정과 수위 등을 논의할 방침이다.
현대차 입장에서 노조의 반대는 상당한 부담이다. 노조의 파업으로 당장 생산이 중단될 경우 가뜩이나 판매 부진에 빠져 있는 현대차로서는 실적 개선 기회를 잃게 된다.
자동차 업계 안팎에서 제기하고 있는 포화 상태인 경차 시장에서의 광주형 일자리 사업의 경쟁력 확보 방안도 모색해야 한다. 광주시와 현대차가 1·2대 주주로 사업에 참여하고는 있지만 투자금의 상당수는 외부에서 끌어다 써야 하는 상황에 재무적투자자(FI)들의 반응은 현재로서는 냉담하다.
업계 관계자는 “노조가 반대하는 이유 중 경차 시장이 포화상태라는 부분은 업계 전체가 인정하고 있는 부분”이라며 “이런 우려를 현대차가 해소하지 않는다면 이후 사업 추진도 매끄럽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성호기자 junpark@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