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팁] 터지면 급사·심한 장애 초래 ...위치·나이 감안 수술 등 결정

뇌동맥류


“건강검진 결과 뇌에 동맥류가 있어 빨리 큰 병원에 가보라고 해서 왔는데 바로 치료해야 하나요?”

진료실을 처음 찾는 환자들이 ‘뇌동맥류는 머릿속 시한폭탄’이라 들었다며 가장 많이 하는 질문이다. 날씨까지 추워지면서 뭔가 조치를 하지 않으면 갑자기 펑 터져 심장마비처럼 돌연사로 이어지는 것 아닌지 노심초사다.

뇌동맥류는 뇌 속 혈관이 얇아지면서 풍선처럼 부풀어 오른 상태다. 전체 인구의 3~5%에서 관찰된다. 뇌출혈을 일으키는 가장 흔한 원인이지만 터지기 전까지는 증상이 없다. 이게 터지면 뇌지주막하출혈을 일으켜 반 정도의 환자가 급사하며 치료를 받더라도 심한 장애가 남을 수 있다.


뇌동맥류는 크기·위치·모양·나이와 고혈압·흡연 여부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1년 동안 터질 확률이 0.5~1% 정도라고 알려져 있다. 1년 동안 파열 위험이 1%라면 40세 환자의 기대여명이 50년인 경우 90세까지 사는 동안 누적으로 파열될 가능성이 50%에 이른다.

뇌동맥류는 고령에서 많이 발생하지만 최근 고혈압·과음·흡연·동맥경화·스트레스로 40대 환자도 증가하고 있다. 여자의 유병률이 좀 더 높다. 뇌졸중(머리 혈관이 막히는 뇌경색과 터지는 뇌출혈) 가족력이 있다면 반드시 뇌 자기공명혈관조영술(MRA)이나 혈관 컴퓨터단층촬영(CT)으로 확인하는 게 좋다.

뇌동맥류가 터지면 망치로 맞은 듯한 극심한 두통을 느끼며 의식을 잃고 쓰러지기도 한다. 따라서 갑자기 심한 두통이 생겼다면 곧바로 병원에 가 검사를 받아야 한다.

뇌동맥류 진단을 받았다면 나이·가족력 등을 감안해 치료 여부를 결정한다. 치료는 머리를 열지 않고 뇌동맥류를 막아주는 시술과 머리를 열어 뇌동맥류를 묶어주는 수술로 나뉜다. 터질 위험이 적다고 판단되면 치료하지 않고 경과관찰을 하는 경우도 많다.

뇌동맥류는 평생 안 터질 수도 있다. 혈관 내 치료나 수술을 권유받았다면 치료 여부 및 치료 방법 결정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 치료가 항상 안전한 것은 아니라서다. 터지지 않은 뇌동맥류는 응급이 아니므로 필요하다면 다른 병원의 의견도 들어보는 게 좋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