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확충으로 성장동력 확보" 교보생명, 내년 하반기 상장

IFRS17 도입으로 수조원 필요
풋옵션 예고 FI와 협상 걸림돌
예상보다 미뤄질 가능성도


교보생명이 국내 주식시장 상장 추진을 공식화했다. 국제회계기준(IFRS17) 도입에 따른 자본확충 요구와 재무적투자자(FI)들의 풋옵션 강행 움직임 등을 고려한 조치로 풀이된다.

11일 금융권에 따르면 교보생명은 이날 정기 이사회를 열어 내년 하반기 기업공개(IPO) 추진을 공식 결의했다. 창사 60년 만이다. 교보생명 관계자는 “IFRS17 도입에 대비한 추가 자본확충을 위해 상장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교보생명은 지난 7월 이사회에서 IFRS17 도입에 대비해 최소 2조원에서 최대 5조원의 자본확충 방안을 논의했다. 최근 금융감독원의 신지급여력제도(K-ICS) 1차 시뮬레이션 결과 지급여력비율(RBC)이 100% 이하를 기록한 것으로 전해지는 등 수조원의 자본확충이 불가피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특히 최근 들어 어피니티 컨소시엄 등 FI들과 지분 처분을 두고 첨예한 갈등을 보인 것도 IPO에 나선 배경으로 꼽힌다. 어피니티에쿼티파트너스·IMM프라이빗에쿼티 등의 FI들은 2012년 대우인터내셔널의 교보생명 지분 24%를 1조2,000억원에 사면서 2015년 말까지 IPO가 이뤄지지 않으면 신창재 교보생명 회장에게 지분을 되파는 풋옵션을 획득했다. 약속한 시점에서 3년이 지났지만 IPO가 기약 없이 미뤄지자 투자금을 회수해야 하는 FI들은 최근 신 회장을 상대로 1조2,000억원의 풋옵션 행사를 통보했다. 이처럼 경영권까지 위협받는 상황에서 FI들을 설득하기 위해서는 증시 상장 외에 대안이 사실상 없었다는 분석이다.


교보생명은 상장 주관사를 추가 선정한 뒤 지정감사인 감사, 상장예비심사, 증권신고서 제출, 공모 등의 절차를 밟을 계획이다. 상장예비심사를 늦어도 내년 상반기 안에는 마무리하고 하반기에는 공모에 나설 방침이지만 업계에서는 기업가치 이슈와 투자자 모집 변수 등으로 상장이 예상보다 미뤄질 가능성도 제기한다.

실제 교보생명의 기업가치는 약 5조원으로 파악됐던 2012년과 별반 달라진 게 없는 상황이다. 현재 삼성생명과 한화생명 등 주요 생명보험사의 평균 주가순자산비율(PBR)은 0.54배 수준으로 2년 전만 해도 0.8배였지만 IFRS17 등 재무건전성 이슈가 불거지며 투자 회피 심리가 대폭 확대됐다. 올 상반기 말 교보생명의 자기자본은 9조586억원으로 업계 주가순자산비율(PBR)을 적용한 예상 시가총액은 4조9,000억여원에 그친다. 아울러 성공적인 공모를 위해서는 해외 기관투자가 유치가 필수인데 신지급여력제도 도입에 따른 추가 자본금 확충 규모를 정확히 파악하기 어려운 상황이라 이마저도 쉽지 않다. 주요 생보사들의 주가가 과거 공모가 대비 20~50%가량 일제히 하락한 점도 불안요인으로 꼽힌다.

아울러 어피니티 컨소시엄 등 FI들과의 협상을 순조롭게 마무리해야 하는 과제도 남아 있다. 주요 주주가 풋옵션 행사를 내세우는 상황이면 상장예비심사 단계 등을 사실상 통과하기가 어렵다는 게 중론이다. 어피니티 컨소시엄 측의 한 관계자는 “제대로 된 가치를 평가받을 수 있는 시점에 상장해야 서로 윈윈할 수 있다는 입장”이라며 “다만 수년째 기약 없이 돈이 묶여 있는 상황에서 교보 측의 상장 의결 방침만으로 풋옵션 방침을 철회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현재 교보생명 최대주주는 신 회장(33.8%)이며 특수관계인 포함 지분은 39.4%다. IPO로 신주가 발행되면 이 지분은 다소 희석되나 우호적 투자자 지분까지 더하면 경영권에는 영향이 거의 없을 것으로 내부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상장이 완료되면 교보생명은 동양생명·한화생명·삼성생명·미래에셋생명·오렌지라이프에 이어 여섯 번째로 증시에 입성한 생보사가 된다. 올해 9월 말 기준 총자산 107조원, 보유계약자 430만명, 보유계약은 305조원에 이른다. /박진용기자 yongs@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