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중재 법무법인 세종 베이징사무소 수석대표./이호재기자
“중국통(通)으로 접근했다가 되레 중국통(痛)만 얻었습니다. ”
18일 서울경제신문 시그널이 만난 원중재 법무법인 세종 변호사는 “한국 기업들의 중국 진출 ‘퍼스트 라운드’는 사실상 실패했다”며 “처음부터 한국기업들은 중국을 너무 쉽게 생각했던 것 같다”고 평가했다. 원 변호사는 세종의 베이징사무소 수석대표다. 지난 2012년부터 현재까지 중국 상하이와 베이징에 상주하며 한중 간 투자, 기업 인수합병(M&A) 및 합작사업 영역에서 법률자문을 하고 있다.
중국 시장에 진출한 상당수 한국 기업들은 중국에서 서서히 경쟁력을 잃다가 고고도미사일 방어체계(THAAD·사드) 논란 이후 줄지어 철수하고 있다. 문제는 손실을 최대한 막을 수 있는 출구전략을 찾아야 하는데 이마저도 쉽지 않다는 데 있다. 원 변호사는 “제값에 지분과 자산을 매각하려면 사업가치를 인정해줄 만한 매수인을 찾아야 하는데 대상을 찾는 것이 만만치 않다”며 “법인 청산도 업력이 길수록 세무와 인사 노무 영역에서 이슈가 많아 상당한 노력과 시간이 소요된다”고 설명했다.
원 변호사는 중국 내 사업환경이 급변함에 따라 한국 기업들의 중국 사업 전략도 바뀌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동안의 뼈아픈 경험을 바탕으로 ‘세컨드 라운드’를 준비하고 있다는 것. 중국 시장에서 더 이상 한국 기업이 독자적으로 생존하기가 어려워진 만큼 사업전략에 맞는 현지 기업을 찾는 방식의 공략이 늘고 있다. 원 변호사는 “과거의 합작사업 방식과 달리 주도권을 중국 기업에 넘기되 경제적 실리를 챙기면서 출구전략을 명확히 하려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원 변호사는 농협금융지주와 중국공소그룹의 리스 합작사업과 최근 현대중공업지주가 추진하는 산업용 로봇 합작사업을 대표적인 사례로 꼽았다. 다만 중국 파트너에 대한 철저한 사전 검증과 중국 사업 전략에 입각한 합작전략 수립 및 합자계약서 작성이 더욱 중요해졌다고 원 변호사는 강조했다. 중국 파트너의 역량이 합작사업의 승패와 직결될 뿐 아니라 소수 주주일수록 종국에는 믿을 것이 합작계약밖에 없기 때문이다. 원 변호사는 “한국 기업은 아직도 합작전략에 대한 고민이 적은 것이 현실”이라며 “전략이 명확해야 그에 맞게 최적화된 합작계약을 설계할 수 있기 때문에 그에 대한 고민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조윤희·김상훈기자 choyh@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