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버스 필요하지만 비용 부담 커" 경기 운송사업자 95% 취지만 공감

62곳 중 59곳 필요성 인정 불구
운영 제약·보조금 부족 ‘걸림돌’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해 경기도 시내버스 업체의 95%가 전기버스 도입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보였다.

하지만 시내버스 업계는 초기 투자비 과다와 차량 운영상의 제약 등이 전기버스 도입을 어렵게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18일 경기연구원의 ‘경기도 전기버스 도입 여건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도내 시내버스 운송사업자 62개 업체를 대상으로 전수 조사한 결과 83.8%인 52개 업체가 전기버스 도입 의사와 관련해 긍정적인 답을 했다.

또 전기버스 도입 취지 및 필요성에 대해서는 95.1%(59개 업체)가 동의했다. 전기버스의 기대편익에 대해서는 시내버스 운송사업자의 87.1%(54개)가 유류비 절감을 가장 높은 순위로 꼽았으며 전기버스가 회사 이익에 부합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82.2%(51개)가 긍정적으로 답했다.


하지만 전기버스 도입의 장애요인에 대해 회사 내부요인으로는 초기 투자비 과다(54.8%)와 차량 운영상의 제약(40.3%) 등을, 정부정책요인으로는 정부의 보조금 지원 부족(45.2%)과 정부의 정책 일관성 부족(35.5%) 등을 들었다.

전기버스 충전소 운영계획에 대해서는 자가 충전소 운영(61.3%), 자회사(모회사)에 위탁 운영(25.8%) 순으로 나타나 타사 충전사업자에게 충전소를 위탁 운영하는 것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의견이 높았다.

전기버스 최초 도입 가능 연도에 대해서는 전체 업체 중 77.4%(48개)가 4년 이내로 답했다.

현재 경기도 내에서는 김포시 선진운수가 최초로 전기버스 25대를 도입해 운영하고 있다. 최근 수원여객과 성남 시내버스가 각각 100대, 20대를 신청했으며 수원시는 전기버스 시범도시 선정을 추진 중이다.

경기연구원은 전기버스 도입 확대를 위해 △현재 전기버스 구입 보조금과 전기차용 전기요금 할인 유지 △경기도 및 시·군 단위 도입 및 지원계획 수립 △버스운송사업자의 자가 충전소 설치 운영 지원 △고용량 및 고효율 배터리 기술개발 지원 △버스운송사업자의 요구를 반영한 전기버스 표준모델 개발 △표준모델을 보조금 지급 기준으로 활용해 차량 제조사 기술개발 촉진 등을 제안했다.

김점산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중앙정부의 친환경 자동차 정책이 전기차와 수소차 사이에서 갈등하면서 전기버스의 적극적인 도입 지원에 미온적인 상황”이라며 “수소버스의 상용화까지는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아 당장 상용화가 가능한 전기버스 도입 확대를 위해 정부의 일관성 있는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윤종열기자 yjyun@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