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제공
지난해 외부감사를 받은 기업 5곳 중 1곳은 재무건전성이 취약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 가운데 재무취약 정도가 덜하고 기간이 짧은 기업은 경영정상화를 적극 지원하는 한편, 한계기업은 신속한 정리절차를 밟는 등의 취사선택 전략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은행은 20일 국회에 제출한 금융안정보고서에서 재무건전성이 취약한 재무취약기업이 지난해 기준 4,469개로 외감기업의 19.6%라고 말했다. 재무취약기업은 3년 연속으로 이자보상배율 1 미만이거나 영업활동현금흐름 3년 연속 순유출, 자본잠식에 해당하는 경우다.
영업활동으로 이자도 벌지 못하는 이자보상배율 1 미만 상태가 3년 이상 이어진 기업은 3,112개(13.7%)다. 3년 연속 영업활동현금흐름 순유출 기업은 1,492개(6.6%), 완전 자본잠식은 1,636개(7.2%)다. 이 중 두 가지 이상이 겹치는 경우가 복합영역 재무취약기업이다. 세 가지가 모두 겹치는 경우는 287개(1.3%)다.
재무취약기업 비중은 2014년 25%에 육박했다가 하락하는 추세다. 대기업은 크게 낮아졌지만 중소기업은 여전히 20%가 넘는다. 업종별로 음식숙박업이 40%가 넘는 등 비제조업(24.6%)이 높은 편이다. 제조업은 14.0%다.
한국은행 금융안정보고서 설명회 / 연합뉴스
재무취약기업에 제공된 금융권 여신은 150조6,000억원으로 전체 기업 여신의 20.1%다. 중소기업은 여신의 25.6%가 재무취약기업에 제공됐다. 재무취약기업 여신 중 복합영역 비중이 22.2%에 달한다. 재무취약기업 여신은 건전성에서 우려가 높은 편이다.
업황 부진기(2013∼2015년) 연체현황을 보면 재무취약기업 중 연체기업 수는 평균 7.3%로 비재무취약기업(0.3%) 보다 훨씬 높았다. 2016년 기준 재무취약기업이 2017년에 정상화된 사례를 보면 취약 사유가 단일한 경우(88.4%)와 재무취약 경험 기간 3년 이하(67.9%)가 대부분이었다.
이를 두고 한은은 금융기관 경영정상화를 위한 신속한 지원 노력을 펼쳐 재무취약기업의 재무지표가 장기간에 걸쳐 복합적으로 악화되는 것을 막아야 한다고 말했다. 다른 한편으론 영업활동 부진이 만성화돼 있고 회수유예 대출 등으로 연명하는 경우에는 구조조정을 추진해야 한다고 전했다. 한은은 또 재무취약기업은 심각한 경영상 어려움에 직면하지 않는 경우에도 사업 재편과 부채축소 등 자구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은비 인턴기자 silverbi20@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