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3>블록체인과 스마트시티
창조경제연구회 이사장
4차 산업혁명의 양대 기술은 인공지능(AI)과 블록체인이라고 한다. 그런데 AI의 실증 사례들이 급증하고 있으나 블록체인 통화의 가치가 급락하고 실증 사례는 드물다 .
올 12월 기술검증 콘퍼런스에서 발표된 40여개 블록체인 사례 연구 결과는 ‘실제 상업적 성공사례가 없다’는 것이다. AI 등 모든 신기술이 그러하듯이 블록체인도 기술 자문기관인 가트너가 주장하는 하이프(hype·허풍) 사이클을 거쳐 실용화될 것이다. 가트너에서는 ‘블록체인 프로젝트 중 99%는 실제 블록체인이 필요하지 않았다. 블록체인이 실용화되기 위해서는 아직도 해결해야 하는 문제가 많다’고 밝히고 있다. 이제 블록체인이 현실 사회에서 검증이라는 계곡을 넘어야 할 때라는 의미다.
블록체인은 신뢰의 기술이다. 이미 신뢰가 어느 정도 확보된 기업 내 활용은 기존 방식에 비해 획기적인 차별성이 발휘되기 어렵다. 블록체인은 신뢰가 부족한 불특정 다수가 모인 문제 해결에 적합하다는 의미다. 즉 블록체인 기술의 최대 실증 분야는 도시 문제를 해결하는 스마트시티가 될 것이다.
이미 스마트시티에서 블록체인의 활용 시도는 스마트주차, 블록체인 버스 요금 결제 등이 있었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기존 방식에 비해 뚜렷한 사업적 차별성이 부족했다. 이에 반해 월마트가 하이퍼레저 기반으로 구축한 블록체인 기반 공급망(SCM)은 농장에서 매장까지의 신뢰 구축을 실증하고 확장에 돌입했다. 이는 블록체인 프로젝트의 유용성은 신뢰가 부족한 환경에 적합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스마트시티에서 신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블록체인 프로젝트들을 살펴보기로 하자.
우선 다단계에 걸친 예산 집행의 비효율성은 신뢰의 부족에 기인한다. 예를 들어 연구개발 지원금이 대학을 통해 개별 연구실에서 집행되는 과정에서 영수증과 같은 증빙을 챙기고 검증하는 데 엄청난 시간이 투입되고 있다. 월마트의 공급망 관리와 같은 분산원장 기술이 적용되면 신뢰 부족으로 인한 비효율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숱한 복지 자금의 집행 과정도 마찬가지다. 즉 다단계에 걸친 예산의 집행을 신뢰의 기술인 블록체인으로 해결할 수 있다. 리눅스재단의 하이퍼레저를 활용한 성공사례들이 다수 보고되고 있고 국내에도 KT 등이 도전하고 있다.
월마트의 사례와 같이 분산원장 기술과 스마트 계약이 결합된 기업의 공급망 관리는 신뢰 사회 구축을 위한 대안이다. 기업 간 거래에서 발생하는 많은 불공정 거래는 스마트 계약으로 극복이 가능하다. 납품과 검수가 끝나면 자동으로 대금이 지급되는 스마트 계약은 갑을 관계를 구조적으로 극복하는 대안이 될 수 있다.
스마트시티는 참여하는 스마트 시민이 만든다. 그런데 오랜 전통이 있는 유럽과 달리 한국 도시에는 시민 참여라는 형태의 신뢰가 부족하다. 신뢰의 기술인 블록체인 기반 인센티브로 시민의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다. 도시의 문제 해결에 참여하거나 나의 익명화된 데이터 제공 등의 대가 혹은 사회봉사에 대해 인센티브를 제공하면 도시와 개인의 이익이 선순환될 수 있다. 블록체인 인센티브는 퍼블릭 블록체인인 암호화폐 형태보다는 프라이빗 블록체인의 포인트 제공 형태가 운영 부담이 적다. 포인트는 게임과 같이 그 자체가 공개돼 명예화되면 사회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의 순환이 시작될 것이다.
스마트시티는 스마트 거버넌스라는 집단 의사결정체계가 중요하다. 비밀은 보장되면서 직접 투표가 확인되는 무자료검증(zero knowledge proof) 기술이 스마트폰에서 시민들의 직접민주제를 가능하게 한다. 여기에 토론방이 추가되면 숙의직접민주제로 가는 길이 열린다. 시민들의 투명한 실시간 여론조사는 당연히 누구나 가능해진다.
도시의 설비와 문서는 블록체인의 암호화 기술로 간편한 공증이 제공된다. 문서의 지문인 해시값만으로 원본 확인이 가능하다. 메가 스마트시티가 신뢰 사회가 되는 길이 열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