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년 회견의 핵심은 기존 정책의 골격에 아무런 변화가 없을 것임을 재확인한 데 있다. 어디에도 긴장감이나 위기의식은 느껴지지 않는다. 숱한 부작용과 후유증을 낳은 소득주도 성장을 단 한 차례만 언급했다는 것이 변화라면 변화다. 하지만 포용성장 내지 포용국가 등으로 표현만 달라졌을 뿐 내용은 대동소이하다. 혁신성장을 경제정책 운용에서 맨 앞으로 내세운 것이 주목되기는 하지만 수소경제와 스마트공장, 규제 샌드박스, 신산업 육성까지 수많은 정책과제를 열거했을 뿐 딱히 새로울 것은 없다. 오히려 기존 정책의 정당성과 필요성을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시간이 걸리고 논란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가야 할 길”이라며 “지금 겪는 어려움이야말로 ‘사람 중심 경제’의 필요성을 잘 말해주고 있다”고 했다.
승자독식의 경제구조와 경제적 불평등 해소에는 누구도 이의를 제기하지 않는다. 그것이 포용성장이든 뭐든 말이다. 하지만 먹고사는 문제는 이념을 앞세우기 보다 현실을 직시하며 합리적이고 실용적으로 풀어가야 한다. 문 대통령은 1년 전 신년사 첫머리에서 ‘삶의 질 개선’을 강조했지만 사정은 완전히 딴판 아닌가. 고용사정은 나빠지다 못해 나락으로 떨어졌고 소득격차는 더 벌어졌다.
문 대통령은 “경제성과를 피부로 느끼게 할 것”이라고 했지만 고개를 갸우뚱거리게 한다. 다 함께 잘사는 동반성장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경제 파이를 키우는 것이다. 성장 엔진을 데우지 않으면 일자리도, 투자도 기대하기 어렵다. 그토록 목말라하는 성과는 정책전환에 달려 있다. 내년 신년 기자회견에서 ‘성과를 내라’는 주문을 또 듣고 싶은 국민은 없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