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 오해와 진실] 인공강우로 미세먼지 걷어낸다?...습도 높여 악화시킬수도

식약처 인증 KF 80·94·99 마스크
미세먼지 각각 80·94·99% 걸러줘
정부 기준치 美·日 수준 상향조정
WHO 권고치에는 크게 못미쳐
공원·옥상서 측정 신뢰성도 의문
중국은 공동연구 결과도 부인


지난 14일 서울의 미세먼지는 미세입자(PM) 200㎍/㎥, 초미세먼지는 150㎍/㎥를 넘긴 적도 있을 정도로 2015년 측정 이후 최악이었다. 시도 때도 없이 발생하는 미세먼지는 겨울이면 더욱 심각해져 삼한사온(三寒四溫·사흘 춥고 나흘 따뜻함)이 아닌 삼한사미(三寒四微·사흘 춥고 나흘 미세먼지)라는 말이 나올 정도가 됐다. 미세먼지에 대한 각종 궁금증을 일문일답으로 정리한다.

◇마스크 쓰면 차단되나=우리가 매일 “미세먼지 수치 몇이야”라고 물을 때 쓰는 단위는 ㎍이다. 1㎍은 100만분의1g에 해당한다. 성인 남성의 1㎝ 머리카락이 약 100㎍ 정도다. 초미세먼지가 150㎍/㎥를 넘었다는 것은 가로·세로·높이가 각각 1m인 사면체 공간에 무게 150㎍ 이상의 고농도 유해물질을 흡입했다는 뜻이다. 이때 10㎛ 이하는 미세먼지이고 2.5㎛ 이하는 초미세먼지로 분류하는데 1㎛는 100만분의1m(0.001㎜)이다. 사람 머리카락의 지름은 약 70㎛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인증하는 KF(Korea Filter)80·94·99 마스크의 경우 80은 0.6㎛, 94와 99는 0.4㎛ 미세먼지를 걸러준다는 뜻이다. 다만 94와 99를 쓰면 노약자의 경우 상대적으로 호흡에 애로가 있다. 서울 신당동의 ‘유쾌한 약국’ 허완 약사는 “마스크를 안 하면 직격탄을 맞는 것에 유념해야 한다”며 “(초)미세먼지는 암·호흡기질환·심혈관질환·피부질환 등에 악영향을 미친다”고 주의를 당부했다. 홍철호 자유한국당 의원이 공개한 환경부 자료(2017년)에 따르면 초미세먼지에 따른 국내 조기 사망자가 1만2,924명(2015년 기준)에 달했다.

◇왜 더 심각해졌나=겨울이 되면 중국에서 석탄난방 등 오염원 발생이 늘어나 편서풍을 타고 한반도로 유입된다. 국내 오염원도 적지 않지만 중국발 유해물질이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직접 타격을 준다. 겨울철 북태평양 찬 고기압이 중국에서 넘어오는 오염물질을 막다가 약화되면 더 심해진다.


반기성 케이웨더 예보센터장은 “지구온난화로 해수면 온도가 높아지는 엘니뇨 등으로 대기정체 현상이 발생하는 것도 한 원인”이라며 “일교차가 커지며 풍속이 감소하는 것도 미세먼지 정체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설명했다. 날이 추우면 찬바람이 불어 미세먼지가 사라진다는 느낌을 받기도 하는데 만약 중국에서 편서풍이 분다면 오히려 악화될 수 있다. ‘추위가 풀리면 미세먼지가 몰려온다’는 속설이 꼭 맞는 말은 아닌 것이다.

과연 미세먼지라고 불러야 하나=미세먼지는 공장 굴뚝이나 석탄 화력발전, 자동차 배기가스 등에서 배출된다. 대기 오염물질이 공기에서 반응해 형성된 덩어리인 황산염과 질산염 등과 석탄과 석유 등 화석연료를 태우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류와 검댕, 지표면의 흙먼지, 황사 등으로 구성된다. 이로 인해 노약자를 비롯해 인체에 미치는 악영향이 크다. 1995년 환경정책기본법에 따라 (초)미세먼지라고 부르기 시작했으나 실상 나노급 (초)미세유해물질인 셈이다.

정부는 미세먼지의 기준을 지난해 3월 미국·일본처럼 ‘36~75㎍/㎥는 나쁨, 76㎍/㎥ 이상은 매우 나쁨’으로 상향했으나 세계보건기구(WHO)에서 미세먼지는 50㎍/㎥, 초미세먼지는 25㎍/㎥ 미만이 권고치라는 점에서 미흡하다. 측정 장소도 서울 성동구의 경우 서울숲 등에서 하는 등 전국적으로 공원이나 공공건물 옥상에서 이뤄져 신뢰성에 의문이 간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과학기술로 미세먼지 등 국민 삶의 질을 개선하겠다”고 공언하고 있지만 미세먼지 예산의 대부분을 환경부가 전기차 보조금에 쓰는 등 미세먼지 예보·분석·저감 등은 난국에 처해 있다. 일각에서는 ‘인공강우라도 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나 일시적으로는 미세먼지를 걷어내도 습도가 높아져 오히려 (초)미세먼지가 악화될 수 있다.

중국은 공동연구 결과도 부인=국립환경과학원 보고서에 따르면 2013년 한중일이 미세먼지를 공동 분석한 결과 한국에서 46%는 자체 발생, 41%는 중국발, 나머지 13%는 북한 등의 영향으로 나온 바 있다. 그럼에도 중국은 학계는 물론 정부(류유빈 생태환경부 대변인 등)에서도 “서울의 미세먼지는 주로 서울에서 배출된 것”이라는 주장을 펴고 있다. 우리 농촌이나 산골에서도 중국의 미세먼지가 심각해지면 동시에 직격탄을 맞는 것을 애써 외면한다. 하이둥 칸 중국 푸단대 교수는 지난해 10월 서울에서 열린 세계과학한림원포럼에서 “남북한의 대기를 각각 조사하면 중국이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할 수 있을 것”이라며 “한국이 우선 국내 미세먼지 저감에 나서야 한다”며 중국 책임론을 부인했다.

이는 ‘한국에 책임을 지기 싫다’는 속내와 함께 지난해부터 미중 통상마찰로 경기둔화 우려가 제기되며 미세먼지 저감책이 다소 느슨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정부가 적극적으로 중국에 대책을 요구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고광본 선임기자 kbgo@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