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교안 전 국무총리가 23일 국회에서 열린 북한 비핵화 관련 세미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상황이 이렇다 보니 당 안팎에서는 그와 뜻을 함께하며 정치적 공동운명체가 되겠다는 이들이 늘어나고 있다. 당내에서는 황 전 총리에게 입당을 제안한 의원들을 중심으로 하는 ‘친황(친황교안)’이 등장해 세 결집에 나서고 있다는 얘기도 들린다. 입당과 동시에 상당한 지지세력을 형성한 그에게 박근혜 정부에서의 총리 이력은 ‘양날의 칼’이다.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책임론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측면에서 독이 될 수도, 한국당 안팎에는 여전히 박 전 대통령의 지지자가 적지 않다는 점에서 득이 될 수도 있다는 얘기다. 강한 보수색채 역시 강점인 동시에 약점이다.
그 색채가 보수층은 물론 극보수층까지 끌어안을 수 있다는 면에서 보수 결집에는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는 반면 중도층에게는 거부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현실 정치 경험이 없다는 점, 온실 속의 화초 이미지 등은 약점으로 꼽힌다. 홍준표 전 한국당 대표는 황 전 총리가 한국당에 입당한다는 소식이 알려진 14일 “황 전 총리는 검사 시절 옆방에서 같이 일한 적이 있는데 착하고 순한 사람”이라면서 “정치권은 아수라장이다. 온실 속 화초는 (하우스) 비닐이 벗겨지는 순간 얼어 죽을 게 자명하다”며 회의적인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당권을 넘어 대권까지 도전할 것으로 보이는 그에 대해 “까딱 잘못하면 잇단 실수 등으로 중도 낙마한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의 전철을 밟을 수 있다”는 우려 섞인 지적이 나오는 것도 그가 반 전 총장처럼 정치 경험이 없어 정치판에 익숙하지 않다는 이유에서다.
문재인 정부의 실정에 따른 반사이익은 기회 요인이다. 특히 박근혜 정부에서 노동 유연성을 제고하는 노동개혁 등에 힘을 쏟았던 황 전 총리에게는 더욱 그렇다. 문재인 정부의 급격한 최저임금 인상, 근로시간 단축 등이 제대로 안착하지 못하고 부작용만 커질 경우 정책 방향이 잘못됐다는 여론이 더 확산할 것이고, 그렇게 되면 생산성 향상, 노동 유연성 제고 정책 방향을 제시했던 그에게 힘이 실릴 수 있다. 위협 요인은 여당의 집중포화 및 한국당 내부 견제의 대상이 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최창렬 용인대 교수는 “황 전 총리는 보수진영에서 보면 안정성이 있다는 장점이 있다”면서도 “아직 한국당 내에는 친박·비박 프레임이 존재해 당내 계파 갈등을 키울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임지훈기자 jhlim@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