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니+ 행복한100세시대] 돈 모으는 기본적 방법

"자금 목적 따라 통장 나눠 관리...비합리적 소비행동도 줄여야"

지진선 NH투자증권 100세시대연구소 수석연구원

멘탈 어카운팅(Mental Accounting)은 2017년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 리처드 틸러가 만든 행동경제학적 개념이다. 국내에서는 대체로 ‘심적 회계’라고 번역하지만 ‘마음의 계좌’라고 부르는 것이 이해하기 쉬울 것 같다. 이 개념은 사람들이 경제적 의사결정을 할 때 마음 속에 나름의 계좌를 설정해놓고 이익과 손실을 계산하는 기준이 매우 주관적인 틀에 의해 작동한다는 것이다.

이 개념에 대해 국내의 저명한 심리학 교수가 이해하기 쉽게 사례를 들어 설명한 적이 있다. 각각 10만원씩 갖고 있던 A와 B는 오늘 오후에 각자 영화를 볼 계획이다. A는 미리 1만원짜리 영화표를 예매했고 B는 현장 구매할 생각이다. 그런데 오후에 A는 1만원짜리 표를, B는 현금 1만원을 분실했다. 둘 다 1만원의 가치를 분실했는데 A만 화가 나서 집에 돌아갔고 B는 계획대로 극장에서 표를 사서 영화를 봤다. 둘의 행동이 달랐던 이유는 이렇다. A의 마음 속엔 현금 9만원이 든 계좌와 1만원짜리 영화표 계좌가 분리돼 있다. 그런데 표를 잃어버리자 영화표 계좌에서 100%의 손실이 발생한 셈이다. 반면 B의 마음 속 계좌는 10만원짜리 하나다. 1만원을 잃어버림으로써 10%의 손실이 일어났다고 인지한 것이다.

부자들이 통장을 여러 개 갖고 있는 이유도 비슷하다. 각 통장의 적은 돈은 큰 돈처럼 체감되지만 목돈이 담긴 통장의 증감에 대해서는 둔감하기 마련이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돈을 쉽게 모을 수 있는 방법은 돈의 목적에 따라 별개의 통장으로 쪼개 관리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사람은 B처럼 목적이 불분명한 하나의 계좌에서 일어나는 돈의 변화에 대해 잘 알고 있고 통제하고 있다고 착각한다. 대개는 소비와 저축에 대해 지극히 비합리적이고 충동적이지만 정작 스스로 이를 인지하는 경우는 드물다. 돈을 모으는 가장 기본적인 태도는 돈의 액면가치를 고려하지 않는 주관적 가치 판단(합리화)을 줄이는 것이다.

예를 들어 200만원짜리 명품은 선뜻 목돈으로 사기 쉽지 않다. 하지만 홈쇼핑에서는 12개월의 할부를 내세우며 하루 5,000원, 매일 마시는 커피 한 잔 줄이면 살 수 있는 가격이라고 강조한다. 현재의 지출을 미래로 유보해 심리 부담을 줄이려는 비합리적 소비행동에 조삼모사의 합리화를 적용한 것이다.

백화점의 세일 기간에는 어떨까. 100만원짜리 재킷을 90% 세일해서 샀다면 가성비 좋은 구매를 한 것일까. 90% 세일하는 가격표를 보기 전에도 이 자켓이 10만원의 가치를 가졌다고 판단했을까. 이런 폭탄 세일이 다신 오지 않을 기회라는 자기 합리화를 막으려면 할인률과 가격표를 보기 전에 그 물건에 대해 적당한 가격을 마음속으로 정해보자. 할인률이 아무리 높아도 미리 정한 가격보다 높으면 사지 말아야 한다.

돈을 대한 입장은 누구나 주관적일 수 밖에 없다고 할 것이다. 하지만 주관적인 가치가 합리적인지 비합리적인지는 판단할 수 있다. 합리화가 아닌, 합리적인 경제적 의사결정을 위해 자신만의 장치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