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첫 미세먼지 대응 인공강우 실험 사실상 실패

기상청·환경부 "유의미한 강수 관측 없어"
기상청, "미세먼지 줄이기 위한 노력 출발점"

지난 25일 오전 10시께 전북 군산에서 120㎞ 떨어진 서해 상공을 기상항공기가 요오드화은 발사탄을 싣고 비행하고 있다. 해상에서는 기상 선박이 미세먼지 저감 효과 및 인공강우 관측을 위해 운항 중이다./사진=기상청제공

미세먼지 대응을 위한 올해 첫 인공강우 실험이 큰 성과 없이 끝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기상청과 환경부는 이번 실험의 성패와 관계없이 인공강우 관련 기술 축적에 무게를 둔다고 자체 평가했다.


기상청과 환경부는 지난 25일 합동 실험 결과 기상 선박과 지상 정규 관측망에서 강수 관측이 없었다고 28일 밝혔다. 다만 구름 내부에서 강수 입자 크기가 증가하고 기상 선박 주의 해상에서도 비를 포함한 구름이 목격되기는 했다. 이 같은 현상이 실험에 따른 것인지 여부는 정밀 분석 중이다. 전남 영광 해안가에 위치한 모바일 관측 차량에서는 몇분 동안 안개비 현상이 관측되기도 했다. 다만 유의미한 수준은 아닌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인공강우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 효과는 이번 실험에서 확인하기 어려웠다.

기상청과 환경부는 “두 기관의 협업으로 인공강우를 이용한 미세먼지 저감 영향 연구에 첫발을 내디딘 실험”이라며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한 다양한 노력의 출발점으로서 의의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실험의 최종 결과는 전문가 세부 분석을 거친 뒤 2월 말에 발표될 예정이다. 이제 남은 인공강우 실험은 14회다. 이 가운데 미세먼지 저감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인공강우 실험은 2~3차례 이뤄질 계획이다. 두 기관은 “고농도 미세먼지가 예측될 때 추가 실험을 추진할 것”이라고 전했다.
/서종갑기자 gap@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