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터리] '까막눈' 300만명

윤여각 국가평생교육진흥원장


지난해 고령사회의 문턱을 넘어선 대한민국은 이제 8년 뒤면 초고령사회로 들어선다.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 인구의 7% 이상인 사회를 고령화사회, 14% 이상이면 고령사회, 20% 이상이면 초고령사회라고 한다.

초고령사회 진입을 앞두고 경제·복지·사회 등 여러 분야에서 우려 섞인 목소리가 나온다. 경제적 측면에서는 인구의 고령화로 비경제적활동인구가 많아져 국내총생산(GDP)이 감소하고 국가 예산의 3분의1을 사회보장비용으로 지출하고 있는 일본의 사례를 답습할까 염려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고령 인구의 증가에 따른 세대 간 격차로 발생하게 될 사회적 갈등과 사회문제의 심화를 우려한다. 초고령사회가 다가오는 것을 불안해하며 맞닥뜨릴 것인가. 예방하고 준비하며 맞을 것인가. 구체적인 논의들이 전개돼야 할 시점이다.


최근 사회적 쟁점이 되고 있는 치매 환자의 특징으로 고령과 저학력과 함께 비문해가 공통으로 언급된다. 김기웅 분당서울대병원 교수팀이 치매 환자의 문자 해독 능력과 질병 여부를 분석해 ‘알츠하이머병 저널’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문해자가 비문해자보다 치매 발병률이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문해교육으로 개인의 삶의 질을 높이는 동시에 치매를 예방해 사회적 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증거이기도 하다.

그동안 미래사회에 대비하는 교육은 학령기 학생 중심의 정규교육에 초점을 맞춰왔다. 그러나 초고령사회를 준비하는 데는 불가피하게 그 방안을 평생교육 차원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평생교육의 영역 중 가장 기본이 되는 문해교육은 평생교육의 출발점이자 근간이다. 지난 2017년 진행된 ‘전국 성인 문해력 조사’ 결과를 보면 일상생활에 필요한 기본적인 읽기·쓰기·셈하기에 어려움을 겪는 성인이 311만명에 이른다. 이는 전체 성인 인구의 7.2%에 해당한다. 교육부와 국가평생교육진흥원은 전국 160여개의 지방자치단체 및 400여개의 교육기관과 함께 성인 문해교육 지원 사업을 추진해 매년 4만여명의 학습자를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기초 문해교육 참여가 필요한 모든 대상에게 교육 수혜를 지원하기에는 아직도 갈 길이 멀다. 고령화의 진행과 사회·경제적 변화, 정보통신기술(ICT)의 발달은 비문해자의 삶을 더욱 불편하게 만들 것이다.

문해는 개인이 교육에 참여할 수 있는 권리를 실현하는 기본 전제이며 민주주의 가치 실현을 위해 반드시 갖춰야 하는 기초 능력이다. 또 문해는 단순히 언어·문자에 대한 이해의 차원을 넘어 인간 생활을 영위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필요한 영역이다. 그렇기에 기초 문해교육뿐 아니라 삶을 풍요롭게 영위하기 위한 다양한 생활 문해교육이 반드시 필요하다. 초고령사회로 진입하기 전에 시대적 변화에 따라 요구되는 중장년층 및 고령층 성인들의 건강과 안전·금융·미디어·디지털리터러시(문해력) 등 생활 문해교육을 적극적으로 확대해야 한다. 초고령사회를 눈앞에 두고 전 생애 단계의 문해교육을 위한 정책 비전이 제시돼야 한다. 누구나 자신의 문해 능력에 맞는 교육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촘촘한 문해교육 지원체제도 구축해야 한다. 지금이 바로 포용성장을 위한 문해교육의 사회적 가치를 되새겨볼 때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