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형 일자리 상반기 2곳 선정...靑 "文대통령 확고한 의지"

■광주형 확산 팔 걷어붙인 靑
경제 위축 지자체 관심 높지만
기업은 영속성 불확실해 고민

청와대와 정부가 광주형 일자리 모델을 확산시킬 지역과 산업을 찾기 위해 분주하게 움직이기 시작했다. 전북 군산과 경북 구미, 대구 등 지역 경제가 위축된 지자체들의 관심도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자동차와 연계된 배터리나 전장부품 등 구체적인 산업들도 거론된다. 대기업들도 자체적으로 이 모델을 검토하고 있으나 확산시키기까지는 수많은 난제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번 광주형 일자리 협상을 물밑에서 조율한 정태호 청와대 일자리수석은 1일 한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광주형 일자리 모델이) 확산돼나가면 장기적으로 지역 경제도 살리고 우리 경제의 돌파구가 될 것”이라며 “(문재인 대통령께서) 이런 확신을 가지고 계신다”고 밝혔다. 정 수석은 또 “미래 자동차와 관련해 배터리·수소 등의 부문에 (각 지자체들이) 관심을 많이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 정 수석의 이 같은 발언은 정부와 지자체·기업들 간에 논의가 이미 상당히 진전됐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와 관련해 기획재정부는 다음달 말까지 광주형 일자리를 일반모델화하고 상반기 중 일반모델 적용이 가능한 지방자치단체 두 곳을 선정하겠다고 밝혔다. 이 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일종의 ‘매뉴얼’을 만들어 지자체의 참여를 유도한다는 것이다. 대상 지자체를 선정하는 정부 부처는 산업통상자원부가 될 것으로 보인다. 고용창출에 목마른 청와대와 정부가 모두 팔을 걷어붙인 모양새다.

이처럼 정부가 광주형 일자리 확산에 드라이브를 걸면서 대기업들도 물밑에서 이 모델의 적용 가능성을 다각도로 검토하고 있다. 대기업들은 GM 공장이 폐쇄된 군산이나 삼성·LG의 공장이 이전 또는 이전을 추진중인 경북 구미에서 ‘저임금형 공장’을 지을 방법이 있는지 일종의 시나리오를 만들어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기업의 한 관계자는 “현실성과 수익성, 기업의 영속성을 동시에 따져보고 있다”고 전했다.


특히 청와대가 ‘제 2의 광주형 모델’로 배터리를 비롯한 전장부품 공장 가능성을 거론하면서 전장부품 분야에 투자를 집중하는 삼성과 LG가 이 분야에서 투자를 결정할 수 있을지에도 관심이 집중된다. 삼성은 전장부품 자회사인 하만을 보유하고 있고, LG 역시 전장부품 시장 진출에 공을 들이고 있다.

이와 관련 삼성·LG·SK 등 국내 5대 그룹 최고경영자(CEO)들은 전날 김수현 청와대 정책실장과 김상조 공정거래위원회 위원장과 만찬에 앞서서도 자사의 광주형 일자리 모델 도입 가능성 여부에 대해 상당한 검토를 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전날 회동에 포함된 한 대기업의 고위관계자는 “현대자동차의 모델을 우리도 접목시킬 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 사전에 그룹 내부에서 여러가지 논의가 있었다”며 “마침 광주형 일자리가 타결된 날인 만큼 이에 대한 논의도 이뤄진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기업의 영속성과 노사 갈등 문제 등이 불확실한 상황이어서 대기업들의 고민도 깊은 것으로 알려졌다. 당장 이날 현대자동차 노조는 “광주형 일자리로 만드는 경차는 내수와 수출 모두 사업성이 없다. 광주형 일자리를 즉각 철회하라”고 강력히 반발했다. 노조는 “올해 7월부터 현대차 울산공장에서 연간 7만 대 규모 소형차를 생산하며 유럽으로 수출되는 코나 1,000㏄ 모델은 언제든 국내 출시가 가능하다”며 “국내 자동차 생산시설이 남아도는 상황에서 광주에 추가 생산공장을 짓는 것은 망하는 길로 가자는 것이다”고 밝혔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지자체가 사실상 대주주를 맡고 중앙정부가 각종 지원을 하는 모델인데 과연 노사 충돌을 극복하면서 안정된 형태로 이 모델이 지속될 수 있을지 기업들이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윤홍우·박성호기자 seoulbird@sedaily.com

취약계층에 도시락 배달 나선 文 대통령...문재인 대통령이 1일 서울 관악구의 한 아파트에서 최영남 나눔공동체 대표와 취약계층 청소년 가정에 도시락 배달을 하기 위해 차량에 탑승하고 있다./사진제공=청와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