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수출이 두 달 연속 감소한 데는 한국 수출의 ‘주력 3형제’인 반도체, 석유화학, 석유제품의 단가하락이 큰 영향을 미쳤다. 여기에 미·중 통상분쟁, 노딜(No Deal) 브렉시트 우려 등 대외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 나온다./이미지투데이
지난달 수출이 두 달 연속 감소한 데는 한국 수출의 ‘주력 3형제’인 반도체, 석유화학, 석유제품의 단가하락이 큰 영향을 미쳤다. 여기에 미·중 통상분쟁, 노딜(No Deal)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EU) 탈퇴) 우려 등 대외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산업부 관계자는 1일 “지난달 수출이 전년 동기 대비 5.8% 감소한 것은 한국 수출품의 경쟁력이 떨어져 시장 점유율을 잃은 데 따른 구조적 요인이라기보다는 수출단가 하락에 따른 경기순환적 요인이 크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1월 수출 물량은 전년 동기 대비 8.4%로 증가세가 견조하다는 평가를 받았지만 수출 단가는 5.8% 하락했다. 특히 반도체 실적은 작년 하반기부터 글로벌 IT기업의 구매연기·재고조정 등으로 인한 가격 하락 영향 때문에 23.3% 감소한 74억2,000만달러로 나타났다. 반도체 수출은 작년 9월 최고 실적(124억3,000만달러)을 찍고 지속적으로 떨어지는 추세다.
석유화학과 석유제품은 국제유가가 전년 동기 대비 10.7% 하락한데 따른 영향을 크게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석유화학 수출은 같은 기간 5.3% 감소한 39억8,000만달러를, 석유제품은 4.8% 감소한 34억7,000만달러였다. 다만, 반도체 메모리 가격과 국제유가는 올해 상저하고(上低下高) 추세에 따라 하반기에는 수출 여건이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는 것이 정부의 분석이다.
우리 수출에 또 다른 부담은 최대 수출국인 중국의 성장둔화 등으로 대중 수출(108억3,000만달러)이 19.1% 감소한 것이다. 여기에서도 대중 수출의 40% 이상을 차지하는 반도체, 석유화학, 석유제품의 수출 감소가 유효하게 작용했다. 아울러 미중 통상마찰 와중에 한국이 중국에 중간재 등을 수출하면 중국이 이를 기반으로 다시 미국에 되파는 무역구조에서 수출은 이중으로 타격을 받았다.
수출이 어렵기는 다른 나라들도 마찬가지다. 중국(-4.5%), 일본(-3.2%), 대만(-3.0%), 싱가포르(-4.1%) 등이 작년 12월부터 수출 감소세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그나마 우리 1월 무역수지가 우려와 달리 흑자를 유지한 데는 막판에 일반기계(1.7%, 45억달러)와 철강(3.3%, 28억달러) 등의 수출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자동차 등 일부 주력품목과 2차전지 등 신수출성장동력 품목 수출도 상대적으로 호조였다. 자동차는 지난해 파업에 따른 기저효과와 신형 스포츠유틸리티차(SUV) 인기로 인해 2개월 연속 수출이 증가(13.4%, 36억7,000만달러)했다.
지난해 가전 수출을 제친 2차전지는 1월에도 14.5%(6억6,000만달러)로 두 자릿수 뛰었다. 지난해 처음으로 100억달러 수출을 달성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역시 12.8%(8억달러)로 순조롭게 증가세를 유지했다. 지난해 10억달러를 돌파하며 2년 연속 두 배 수준의 수출 급성장세를 보인 전기차도 1월 184.7%(2억8,000만달러)로 고속 성장세를 이어갔다.
중소·중견기업 수출비중이 높은 플라스틱제품, 정밀화학원료, 가구 등도 숨겨진 효자 수출품목이다. 이들 제품은 과거부터 안정적인 증가세로 수출을 지탱해 왔으며 플라스틱의 경우 1월 13.9%(8억9,000만달러)의 증가세로 볼 때 올해 최초로 100억달러를 돌파할 가능성을 보인다.
지역별로는 미국, 유럽연합(EU) 등 주력시장과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인도·독립국가연합(CIS) 등 신남방·신북방 시장의 증가세가 이어졌다. 미국의 경우 미중 분쟁 여파에도 불구하고 중국과 달리 2년 연속 상승세로 1월도 20.4%(62억1,000만달러)로 4개월 연속 수출이 늘었다. EU 역시 5년 연속 수출비중이 상승세로 1월도 11.9%(50억3,000만달러)로 4개월 연속 늘어났다. 올해 2년 연속 수출 6,000억달러 달성을 목표로 내세운 성윤모 산업부 장관은 “2월중 관계부처 합동으로 부처별 수출 대책을 집대성한 수출활력제고방안을 수립하고, 분야별 수출 대책을 연중 시리즈로 발표하겠다”고 말했다.
/이다원 인턴기자 dwlee618@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