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미세먼지, 정신질환 응급입원도 늘린다…따뜻하면 상승효과

서울대 김호 교수팀 분석
바깥활동 65세 미만 인구서
호흡기질환·뇌속 염증 악화

대기 중 초미세먼지(직경 2.5㎛=0.0025㎜ 미만)의 농도가 높아지면 정신질환자의 응급입원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이런 효과는 봄철 등 따뜻한 계절에 일산화탄소·이산화질소·오존·이산화황 등 다른 대기오염물질의 농도가 높아지면 상승작용을 일으켰다.

11일 서울대 보건대학원·건강환경연구소·분당서울대병원 공동연구팀에 따르면 서울에서 지난 2003∼2013년 우울증·조현병 등 정신질환으로 응급입원한 8만634건을 대상으로 초미세먼지 노출과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연구팀에 따르면 초미세먼지 농도가 2일 평균 10㎍/㎥ 증가할 때마다 정신질환자의 응급입원 상대위험(RR)도 평균 0.8% 증가했다. 다만 초미세먼지가 정신질환에 미치는 위해성은 65세 미만에서만 관찰됐다. 65세 이상 노인은 바깥 활동 시간이 짧아 초미세먼지에 의한 호흡기질환 악화, 뇌 속 염증유발 등 위험이 낮아지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응급입원 증가 효과는 초미세먼지와 일산화탄소·이산화질소·오존·이산화황 등 또 다른 대기오염물질 중 하나 이상의 농도가 높을 때, 초미세먼지 농도가 세계보건기구(WHO)의 대기 질 가이드라인인 25㎍/㎥보다 낮은 경우에도 더 강해지는 경향을 보였다. 다만 ‘초미세먼지+다른 대기오염물질’에 의한 상승 효과는 따뜻한 계절에 유의하게 나타났다.

연구를 이끈 김호 서울대 보건대학원장은 “초미세먼지 농도가 낮더라도 정신질환에 의한 입원이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됐다”면서 “이는 농도와 상관 없이 초미세먼지에 아주 짧은 기간 노출돼도 정신질환에 미치는 위험이 크다는 방증인 만큼 추가적인 메커니즘 분석과 대책 마련을 서둘러야 한다”고 지적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환경 연구(Environmental Research)’에 발표됐다.

앞서 스웨덴 우메아대학 연구팀이 2016년 영국의학저널(BMJ Open)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초미세먼지와 미세먼지가 10㎍/㎥ 증가하면 아동의 정신질환이 4%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대기오염물질이 신체나 뇌 속으로 들어가 염증을 유발함으로써 정신질환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추정했다.

한편 피부의 모공보다 훨씬 작은 초미세먼지가 모공 속에 들어오면 아토피피부염 같은 알레르기 염증반응이 심해질 수 있다. 반복적인 노출은 눈 표면을 손상시키고 천식·만성폐쇄성폐질환(COPD) 같은 호흡기질환, 혈관 염증→혈전·동맥경화→심근경색·뇌졸중 등 심뇌혈관질환도 악화시킨다. 한림대 동탄성심병원 호흡기내과 현인규·김철홍 교수팀에 따르면 COPD 환자는 초미세먼지 농도가 높을 경우 호흡곤란 횟수가 호흡기질환이 없는 사람에 비해 최대 28배나 많아졌다.

방오영 삼성서울병원·배희준 분당서울대병원 교수팀에 따르면 대기 중에 미세먼지·이산화황 농도가 높아지면 심방세동과 같은 심장질환으로 생긴 혈전이 뇌혈관을 막아 발생하는 ‘심장 탓 뇌졸중’ 위험도 커진다. 대기 중 미세먼지 농도가 10㎍/㎥ 증가할 때마다 5%씩, 이산화황의 농도가 10ppb 상승하면 57%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방 교수는 “대기오염물질이 심박 수, 부정맥 등 심혈관계 전반에 걸쳐 유해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임웅재기자 jaelim@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