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양, 청주, 인천 기반 신규 LCC 인가...출혈 경쟁에 도산 우려도

한계 몰린 저가항공사 속출에도
시장 논리보다 경쟁유도에 초점
LCC '제살깎아먹기' 영업 심화
정비인력 부족 안전문제 우려도


정부가 플라이강원과 에어프레미아·에어로케이 등 3개 국제항공운송사업자를 새로운 저비용항공사(LCC)로 허가했다. 신규 사업자들은 2년 안에 취항해 기존 LCC 6개사와 무한경쟁을 벌일 것으로 전망된다.

국토교통부는 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브리핑을 열어 신규 항공운송면허 심사를 벌인 결과 이같이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면허 발급이 확정된 항공사는 강원도 양양공항을 기반으로 한 플라이강원과 청주국제공항 기반의 에어로케이, 중장거리 특화 항공 서비스를 내세운 인천 기반의 에어프레미아다. 신규 LCC 허가는 지난 2015년 12월의 에어서울 이후 4년 만이다.

현재 소형 항공운송사업을 하는 에어필립은 완전자본잠식 상태인데다 최대주주가 자본금 가장납입으로 소송이 진행되고 있어 반려됐다. 화물운송사업 면허를 신청한 가디언즈는 사업계획에 운수권이 없거나 화물운송 수요 등 구체성이 떨어져 면허기준을 충족하지 못했다.


이번 국토부의 결정으로 이용객들은 가격과 서비스 경쟁의 효과를 누릴 수 있게 됐다. 하지만 기존 사업자들은 “출혈경쟁이 심화돼 안전시설에 대한 투자가 줄어드는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며 우려하고 있다.

이번 신규 LCC 선정은 시장논리보다 경쟁 유도 쪽에 초점이 맞춰졌다. 국토부는 사실상 결격사유가 없다며 요건을 충족한 모든 항공사에 신규 면허를 허가했다. 문제는 지금도 한계에 몰리는 저가항공사들이 속출하는 상황에서 신규 LCC는 물론 기존 LCC들이 버텨낼 수 있을지다. 지난해만도 진에어가 234억원의 적자를 냈고 에어서울 또한 영업손실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티웨이항공 역시 지난해 4·4분기 경쟁심화로 적자를 보였다. 아시아나항공(020560))을 제외한 LCC들은 중정비를 못해 해외에서 해결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구경우기자 세종=강광우기자 bluesquare@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