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견에 두번 우는 자살유가족] '지옥갔다' 장례 거부하고,'꺼림칙' 축의금도 안 받아

[기획]삶에 사표던지는 아버지들
<중> 자살유가족은 가해자가 아니다
시댁·회사동료 '죄인' 낙인·아이들 상처받을까 노심초사
"그럴때까지 부인은 뭐했대" 시선 싸늘…이웃 왕래도 뚝

서울경제신문 탐사기획팀이 지난달 19일 서울 구로구 구로동에 있는 서울시 자살예방센터 유가족 자조모임(일명 ‘자작나무’)에 참석해 유가족들로부터 사회적 편견에 대한 의견을 듣고 있다. /이종호기자

아이들에게 ‘아빠가 자살했다’는 말은 할 수 없었다. 친척과 조문객들에게도 사고사(死)라고 둘러댔다. 하지만 남편의 회사 이름과 자살한 지역, 남편 성의 영문 이니셜인 C씨라는 사람이 자살했다는 뉴스 속보가 알려지면서 장례식장 분위기는 급속도로 얼어붙었다.

“조문객들이 스마트폰을 보면서 ‘자살했대…’라고 수군대는 모습이 일순간에 확산되는 것을 지켜봐야 했어요. 아이들에게 아빠가 나약한 모습으로 남는 것이 끔찍하게 싫었습니다. 또 아이들에게 자살한 사람의 자녀라는 주홍글씨가 새겨지는 것이 두려웠어요.” 아내 K씨는 “진짜 자살이냐”고 묻는 조문객들의 질문에 “제발 아이들 귀에 남편 자살 이야기가 들리지 않게 해달라”고 애원해야만 했다.

40·50대 가장의 죽음은 한 사람의 죽음에 그치지 않는다. 살아온 인생의 궤적이 모범적이고 고인이 그동안 짊어진 가장으로서의 무게가 크면 클수록 남겨진 유가족의 아픔도 더 커질 수밖에 없다. 하지만 유가족들은 고인의 죽음을 남몰래 슬퍼해야 한다. 자살로 마무리된 한 가장의 죽음은 유가족에게 상상하지 못할 사회적 편견을 남기기 때문이다.

◇시댁과 지인의 편견으로 고립=남편을 자살로 잃은 어머니이자 며느리인 미망인들은 남편의 장례식을 마친 뒤 혹독한 현실과 마주했다. “남편이 극단적인 선택을 할 때까지 당신은 무엇을 했느냐”는 따가운 시선이 매서운 질책으로 다가왔기 때문이다. K씨는 “가장 먼저 시부모님과 시댁 어른들이 보이는 나를 거부하는 듯한 태도를 받아들이기 어려웠다”며 “나도 힘들고 슬프고 아픈데 죄인시 하는 눈길과도 마주해야 했다”고 되돌아봤다.


무한경쟁의 사회 분위기 속에서 탈진한 40·50대 가장의 자살은 피해자인 유가족을 남기지만 정작 유가족들은 사회에서 ‘가해자’로 지목된다. 특히 산업재해보상을 신청하기 위해 남편 직장에 문의할 때 더 심하다. 미망인들은 회사를 원망하지만 회사는 다른 말로 상처를 준다. K씨는 “산재 신청을 하기 위해 필요한 서류 몇 장을 발급받을 수 있느냐고 물었더니 되돌아온 대답은 ‘그러니깐(여자가 이 모양이니) 남편이 죽었지’라는 대답이었다”면서 “분노를 참으면서 재차 요구하자 ‘내가 죽였나’라는 회피형 대답이 전부였다”며 눈물을 흘렸다.

막역한 친구 등 지인들이 쌓아놓은 편견의 벽은 상상을 초월한다. 두 딸을 먼저 보낸 장연록씨는 “친한 여고 동창이 딸아이 장례식장에 못 오겠다고 하면서 ‘어른들이 가지 말라고 했다’고 이유를 둘러댔다”며 “나이 60이 넘었는데도 어른 핑계를 대면서 장례식장에도 안 오려고 하는 게 자살자에 대한 우리 사회의 정서와 편견”이라고 말했다. 이어 “친구 딸이 결혼한다는 소식을 듣고 축의금을 송금해주기 위해 계좌번호를 물었더니 축의금도 거절하더라”면서 “자살한 사람과 유가족은 모두 죄인이라는 편견이 유가족을 두 번 울게 한다”고 지적했다.

◇‘종교적 편견’까지…기댈 곳 없어=지인과 시댁 등의 편견에서 벗어나기 위해 종교에 기대려 하지만 이마저도 쉽지 않다. 우선 기독교와 천주교 등은 자살을 살인과 동일시하기 때문이다. 십계명의 ‘살인하지 말라’는 계명은 타인뿐 아니라 자신의 생명까지 포함하는 만큼 자살자는 이미 십계명을 어긴 죄인으로 간주된다. 실제 일부 교회에서는 기독교인이 자살할 경우 장례예배를 거절하는 경우도 흔하다. 노용찬 빛고을나눔교회 목사는 “교인 친척이 자살했지만 교인이 다니던 교회에서 자살했다는 이유로 예배도 드리지 않았다”면서 “아직도 우리나라 기독교에서는 자살자에 대해 죄인시 하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했다. 노 목사는 이어 “기독교적으로 구원 문제는 하나님과 그 영혼 간의 문제인 만큼 ‘자살=살인=지옥’이라는 등식을 유보하자는 의견도 제기되지만 많지는 않다”면서 “자살자의 유가족을 돌보고 위로해야 하는 것이 교회가 할 일이지만 교회 내에서도 자살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을 조심스러워한다”고 설명했다. 불교 역시 살생을 금지하는 만큼 유가족들은 불교에 기대기도 어려운 형편이다.

◇숨어서 아픔 달래야 하는 유가족=유가족들은 주변 지인들과 연락을 끊은 상황에서 새로운 지인을 만드는 것도 벅차한다. 유가족 B씨는 “공원에서 운동을 하다 자주 얼굴을 마주치게 되면 자연스레 남편 이야기와 아이들 이야기로 주제가 옮겨간다”며 “가족이 자살했다는 것을 말하면 놀라서 물러서는 것을 자주 경험한 만큼 가족 이야기를 할 정도로 친해지면 나 자신이 그 사람들로부터 멀어지려고 노력한다”고 말했다. 또 다른 유가족 C씨는 “자살 유가족들은 기존 인간관계의 끈이 거의 끊어지고 사회적으로 고립된다”며 “새로운 사회관계를 만들기 위해서는 새로운 터전으로 이사한 후 가족 얘기를 숨겨야 가능할 것”이라고 털어놓았다.

아버지를 잃은 청소년기의 아이들 역시 교우관계 형성이 쉽지 않다. 경기도 자살예방센터의 한 직원은 “같은 아픔을 겪고 있는 자살 유가족 또래 청소년들끼리 ‘아빠의 직업에 대해 거짓말을 했다’ ‘마치 아빠가 살아 있는 것처럼 새 친구들에게 얘기했다’고 말하는 것을 들을 때 가슴이 아프다”며 “자살로 가장 큰 피해를 겪는 게 유가족인데 이들은 매일 매일 사회적 편견과 싸우면서도 정작 자신의 아픔을 치유하지 못한 채 살아가고 있다”고 전했다. *자살예방상담전화 1393. /탐사기획팀=김상용기자 kimi@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