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는 경력직만? 신입도 얼마든지 도전 가능!

회계사 등 다양한 경력자 채용 많지만
IB업무와 산업에 대한 이해 가장 중요

수수료 수익의 감소로 대부분의 증권사는 투자은행(IB) 부문에서 각자의 사활을 걸고 있다. IB 관련 인재의 중요성이 확대되는 상황이다. 전문성이 발휘돼야 하는 분야인 만큼 금융투자 업계에서는 IB 인재를 서로 차지하려는 쟁탈전이 벌어지기도 한다. 경력직만 IB 업무를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신입 증권맨 역시 얼마든지 도전 가능하다.

최근 증권사의 경력직 채용은 IB, 헤지펀드 분야 위주로 이뤄지고 있다. 신한금융투자는 지난달 헤지펀드운용부에서 주식 및 대체투자를 운용할 경력 직원을 모집했다. NH투자증권은 헤지펀드 신규 투자 안을 검토하고 편입된 자산을 수시로 점검하는 경력직 심사역을 보충하고 있다.


다양한 배경을 가진 경력자를 선호하다 보니 몇 년 전부터 회계사나 은행원, 애널리스트 등 여러 직종이 IB 경력직을 노리는 추세다. 한 대형 증권사 관계자는 “바이오 분야 애널리스트를 기업공개(IPO)나 전환·교환사채 등 발행을 담당하는 ECM 부서 인력으로 채용한 경우가 있다”며 “업종 이해도가 높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약학 박사 학위자를 채용한 곳도 있다. 증권사 IPO 업무 담당자는 “특정 업종을 잘 아는 애널리스트나 밴처캐피탈 인력을 뽑으면 영업망이 확장되는 효과 역시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증권사 IPO 관계자는 “실무에 바로 투입 가능한 회계사를 선호하는 분위기다”라고 말했다.

실무 경력은 없지만 다양한 분야를 경험해보고 또 경험하려는 의지를 가진 준비생이라면 예비 ‘IB 맨’의 자격이 있다. 한 증권사 IB 부서 신입사원은 “대학 시절 감정평가사 시험 준비, 부동산 관련 학회 및 공모전 참여, 시행사 인턴 등 여러 경험을 쌓았던 것이 큰 도움이 됐다”고 조언했다. 또 다른 IB 부서 직원은 “컴퓨터공학이 전공이지만 금융권 인턴 경력이 플러스로 작용했다”며 “IB 업무, 산업과 기업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철저한 개인 능력 위주로 돌아갈 것 같지만, IB는 오히려 팀워크가 가장 중요한 분야라는 것이 현직자들의 공통된 조언이다. 증권사 관계자는 “네트워크 유지와 영업에 힘쓰는 것이 무엇보다 기본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조양준기자 mryesandno@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