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5일 서울 종로구 경운동 서울노인복지센터 앞 이동식카페에서 열린 치매 어르신 위한 기억다방에서 어르신들이 기억력테스트와 치매상담을 받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해 65세 이상 치매환자는 74만8,945명이었고, 치매관리에 들어간 총비용은 15조6,909억원에 달했던 것으로 추산됐다.
8일 보건복지부 산하 중앙치매센터가 발간한 ‘국제 치매정책동향 2018’에 따르면 국내 노인치매환자 수는 2018년 74만8,945명에서 2060년에는 332만3,033명으로 4.4배 증가할 것으로 추정된다.
이 기간 치매 환자 증가율은 85세 이상 초고령층(88.0%)에서 가장 높고, 80∼84세(67.7%), 75∼79세(53.9%), 70∼74세(44.8%), 65∼69세(36.7%) 순이었다.
지난해 경상가(물가변동 반영) 기준 국내 총 치매관리비용은 15조6천909억원이었고, 2020년 17조8천846억원, 2030년 32조2천871억원, 2040년 56조7천593억원, 2050년 87조1천835억원, 2060년 105조7천374억원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경상가 기준 치매관리비용은 10년마다 1.67배 증가하며, 불변가 기준으로도 2020년 이후 10년마다 평균 1.3배씩 증가해 2050년에는 국내 실질 국내총생산(GDP)의 1.5%인 43조2,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됐다.
한편 지난해 치매 환자 1인당 관리비용은 2,095만원으로 산출됐다. 치매관리비용에는 직접의료비, 직접 비의료비, 장기요양비용, 간접비(환자 생산성 손실비용)가 포함된다. 직접의료비는 전체 비용 중 53.4%를 차지했고, 직접 비의료비(32.7%), 장기요양비용(13.0%), 간접비(1.0%) 순으로 많았다.
/박홍용기자 prodigy@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