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순 서울시장이 13일 열린 ‘스마트시티 좌담회’에서 서울시의 스마트시티 추진 방안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사진제공=서울시
4차 산업혁명 기술을 도시 행정에 적용하는 ‘스마트시티’와 관련해 이미 인프라가 완성된 대도시는 새로운 시도를 하기 쉽지 않다. 서울시는 그 해결책으로 ‘빅데이터’와 ‘공유’를 꼽았다. 도시 곳곳에 5만개의 사물인터넷(IoT) 센서를 설치해 데이터를 모으고 이를 자치구는 물론 민간에도 개방해 경제 발전까지 노리겠다는 것이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13일 ‘스마트시티 추진계획’을 발표하고 올해부터 오는 2022년까지 총 1조4,725억 원을 투자해 서울을 ‘빅데이터 수도’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김태균 서울시 스마트도시정책관은 “스마트시티 관련 국가시범도시로 선정된 세종은 새로운 도시이므로 인프라를 설치하는데 장애가 없지만 이미 기반이 갖춰진 서울시는 다르다”며 “정보통신기술(ICT)를 접목해 도시문제를 해결하고 삶의 질을 높이는 도시 정책을 펴야 한다”고 말했다.
서울시는 도시의 각종 정보를 모아 ‘빅데이터’를 구축할 예정이다. 서울지역에 총 5만개의 IoT 센서가 2022년까지 설치된다. 이 센서는 미세먼지·소음·바람·빛 세기·유동인구·차량이동 등 각종 정보를 수집하게 된다. 서울시는 이 정보를 한데 모아 저장·분석·활용할 수 있는 ‘공공 빅데이터 통합 저장소’를 연내 구축해 정책화 할 예정이다. 예를 들어 교통 분야에서는 센서가 주차차량 유무를 실시간으로 파악해 시민들이 스마트폰 앱으로 주차 공간의 확인부터 결제까지 한꺼번에 끝낼 수 있게 된다.
폐쇄회로(CC)TV도 한층 똑똑해진다. 서울시는 싸움·방화 등을 자동으로 인식해 경찰이나 소방서 등에 실시간으로 알리는 ‘지능형 CCTV’ 총 1만7,820대를 2021년까지 도입한다.
이렇게 모인 정보는 ‘통 크게’ 공개·공유된다. 서울시는 자치구와 도시정보를 공유해 정책 개발을 더욱 원활히 할 계획이다. 또 민간의 참여를 끌어들이기 위해 2020년까지 ‘민관 공동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한다. 서울의 빅데이터를 활용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할 수 있도록 돕겠다는 복안이다.
문제는 규제다. 도시 정보를 모으는 과정에서 개인의 프라이버시 침해 문제가 제기될 수 있으며 이는 ‘꼭 필요한 규제는 무엇인가’라는 논란으로 확대될 수 있다. 박 시장은 “규제의 핵심은 프라이버시 문제로 도덕적 가치라 소중하지 않은 게 없지만 익명화 기술 등 새로운 기술이 나오고 있어 조화가 되면 두 마리 토끼를 다 잡을 수 있다”면서 “해결책은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날 추진계획 발표 후 열린 간담회에 참석한 김수영 양천구청장은 “규제를 풀어주는 게 대한민국의 발전을 위해 필요하다”며 기술 개발을 위한 규제 철폐를 강조했다./변재현기자 humbleness@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