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리코박터균 감염되면 대사증후군 위험 1.2배

김나영·임선희 교수팀 분석
65세 이상 노인은 연관성 없어
"고혈압·당뇨병 영향 더 큰 탓"


위장 점막에 사는 세균인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에 감염된 65세 미만 성인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대사증후군 위험이 1.2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김나영 분당서울대병원·임선희 서울대병원 강남센터 교수팀이 전국 10개 대학병원 및 건강검진센터를 찾은 16세 이상 2만1,100여명 중 헬리코박터균 제균치료 경험이 없는 1만5,195명을 대상으로 헬리코박터균 감염과 대사증후군 간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다.

우리나라 성인의 30% 이상이 심혈관질환과 당뇨병 위험 등을 높이는 대사증후군을 갖고 있다. 헬리코박터균은 위·십이지장궤양과 위염·위암 등을 유발하며 국내 감염률은 지난 1998년 67%에서 2016~2017년 44%로 감소세를 보여왔다. 다만 미국·북유럽 등 선진국(30% 이하)에 비해서는 여전히 높은 편이다.


20일 연구팀에 따르면 분석대상자 중 43%가 헬리코박터균에 감염(항체 양성)됐고 24%는 대사증후군이었다. 헬리코박터 감염자 가운데 대사증후군이 있는 사람은 27%로 감염되지 않은 군(21%)의 1.3배였다. 성별·연령·체질량지수(BMI)·거주지·가계소득·교육수준 등에 따른 편차를 보정했어도 65세 미만 연령층에서 헬리코박터균 감염은 대사증후군 위험을 1.2배 높이는 요인이었다.


김 교수는 “헬리코박터균 감염과 같은 만성적인 감염이 염증성 물질(사이토카인)의 생산·분비를 촉진해 지질대사에 영향을 미치고 대사증후군을 유발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 메커니즘에 대해서는 헬리코박터균이 위장 점막에 침입하면 염증 세포로부터 이에 대항하기 위한 혈관 작용물질이나 산화질소가 분비돼 혈압에 영향을 끼친다는 가설, 인슐린 수용체에 변화를 일으켜 세포들이 혈당을 잘 받아들이지 못하게 돼 대사증후군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는 가설이 있다.

다만 65세 이상 연령에서는 헬리코박터균 감염과 대사증후군 간 연관성이 없었다. 그 이유에 대해 연구팀은 “노인들은 헬리코박터균보다 고혈압·당뇨병·고지혈증 등 만성질환이 대사증후군에 더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일 것”이라고 추정했다.

임 교수는 “헬리코박터균이 대사증후군에 미치는 확실한 인과관계는 제균치료 후 대사증후군 위험이 감소하는지, 특히 인슐린저항성·고혈압·고지혈증 환자군에서 생존율 등이 높아지는지에 대한 추가 연구를 통해 증명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소화기질환과학(Digestive Diseases and Sciences)’에 발표됐다.
/임웅재기자 jaelim@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