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연구원은 24일 이런 내용을 담은 ‘경기도 가구산업 경쟁력 강화방안’ 보고서를 발표했다.
문미성 경기연구원 연구기획본부장은 도 가구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 방향으로 △디자인개발 및 인력양성 등 산업고도화를 위한 혁신생태계 구축 △가구산업 특화지원에서 생활디자인산업으로 정책영역을 확대 △대·중소, 중소·중소기업간 협력 생태계 구축 △중장기 전략으로 가구산업 글로벌화 지원 등을 제안했다.
지난 2016년 기준 우리나라 가구산업의 내수 규모는 약 7조8,000억원으로, 최근 5년간 연평균 6.7%씩 성장했다. 생산액 규모는 6조5,000억원 수준이다.
제조업의 침체에도 불구하고 가구산업은 최근 5년간 1만1,000여 개의 일자리를 창출했다. 지난 2012∼2016년 가구제조업의 연평균 고용증가율은 4.5%로, 제조업 평균의 2배 이상 수준이었다.
경기도는 국내 가구산업의 성장을 견인하고 있다.
경기도 가구시장 규모는 지난 2016년 4조9,000억원에 달하며, 경기도는 전국 가구산업 고용의 59.2%, 전국 가구제조 사업체의 46.2%를 보유하고 있다.
특히 지난 2016년 가구제조업 전체 근로자의 48.5%가 10인 미만 사업체에 종사하는 등 가구산업의 영세화가 지속하는 가운데서도 중소중견업체의 성장이 두드러졌다. 지난 2012∼2016년간 출하액 규모 10억원 미만의 영세 사업체 수는 줄어든 반면, 50억∼300억원 규모의 사업체수는 121개가 늘었다.
문 연구기획본부장은 “최근 가구산업의 성장으로 영세성을 탈피한 역량 있는 중소기업이 증가하고 있다”며 “영세중소기업의 매출 증대가 아니라 가구산업의 혁신과 고부가가치화를 정책의 목표로 재설정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윤종열기자 yjyun@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