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대상 11종 및 채집 장소: 각시붕어(금강, 낙동강, 섬진강 권역 등 8곳), 모래무지(금강, 낙동강, 영산강, 한강 권역 등 16곳), 돌고기(금강, 낙동강, 섬진강, 한강 권역 등 8곳), 버들치(금강, 낙동강, 영산강, 제주도, 한강 권역 등 11곳), 돌마자(한강, 금강, 낙동강, 섬진강, 영산강, 한강 권역 등 11곳), 강준치(금강, 낙동강, 한강 권역 등 15곳), 끄리(금강, 낙동강, 한강 권역 등 9곳), 동자개(금강, 낙동강, 영산강, 한강 권역 등 7곳), 치리(금강, 낙동강, 영산강, 한강 권역 등 5곳), 빙어(금강, 낙동강, 한강 권역 등 18곳), 참종개(금강, 낙동강, 한강 권역 등 8곳)
11종의 유전자 특성 정보를 분석한 결과 각시붕어, 모래무지, 돌고기, 버들치, 돌마자 5종은 사는 곳의 수계별 집단 간에 서로 다른 고유의 유전자형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강준치, 끄리, 동자개, 치리, 빙어, 참종개 6종은 사는 곳의 수계와 상관없이 동일한 유전자형을 갖고 있으며, 수계별 유전자 특성이 뒤섞인 것으로 드러났다.
예를 들어 금강, 낙동강, 한강 수계에서 채집한 강준치는 총 3개의 유전자형이 관찰 됐는데 3개 수계에서 채집한 강준치에서 같은유전자형이 관찰됐다.
또한, 금강, 낙동강, 영산강, 한강 권역에서 채집한 동자개의 경우 총 10개의 유전자형이 나타났는데, 낙동강에서 채집한 동자개에서 한강, 금강, 영산강 집단에서 나타나는 유전자형이 관찰돼 유전자 뒤섞임(혼재) 현상이 발견됐다.
우리나라 민물고기는 약 2백만 년 전 빙하기 이후부터 한강 등 수계별로 분리되어 독특한 유전적인 특징을 갖는데, 이번 연구 결과로 각 수계별로 유지되던 유전적인 고유성이 일부 지역에서 사라지고 있다.
낙동강에서 사는 민물고기에서 유전자 뒤섞임 현상이 주로 발견된 이유는 수계별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방류 행사와 같은 지역 축제 때 한강 등 다른 수계의 개체를 방류한 것이 원인으로 추정된다.
서민환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장은 “이번 연구 결과는 유전자 표지를 이용하여 형태적 특징만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우리나라 민물고기의 수계별 유전자 다양성을 과학적으로 분석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며, “수계별로 유전자 특성이 뒤섞이면 우리나라 민물고기(담수어류)의 생태지리학적인 고유 특성이 무너질 수 있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유전적 특성 정보를 확보하겠다”고 말했다.
/상주=이현종기자 ldhjj13@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