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 '직고용' 난항... 서비스센터 사장들 집단행동 '엄포'

합의금 없이 팀장급 채용에 이견
100명 규모로 장기간 집회 신청
노조 눈치에 직원고용 먼저 끝내
사장들 협상력도 함께 높아진듯
LG측 "팀장되면 처우 좋아져... 합의 노력"

전국 130여개 서비스센터 사장들까지 합의금 없이 직원으로 채용하려는 LG전자(066570)의 직고용 협상이 논란에 휩싸였다. 노조 문제로 이미 서비스센터 직원들만 채용을 확정한 상태에서 센터 사장들과는 법적 책임이 없다는 이유로 ‘실속 챙기기’ 협상을 벌이며 난항을 겪고 있다.

2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LG전자 서비스센터 사장들은 최근 용산경찰서를 통해 서울 한남대로에 100명 규모의 집회를 오는 4월17일까지 매일 신청했다. LG전자 협력사 사장들이 릴레이 집회를 신고한 것은 LG전자 서비스센터 직원 3,900명 직고용 결정에 대해 일종의 압박 카드로 활용하기 위해서다. 이들은 집회 신고만 한 채 아직까지 실제 시위에 나선 적은 없지만 집결할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LG전자는 지난 13일 서비스센터 직원에 대한 직고용을 사실상 확정했지만 사장들과는 이견을 좁히지 못한 상황이다. 새 직원들은 5월1일부로 LG전자에 모두 입사할 예정이다.


이는 올 1월1일 자로 서비스센터 직원 직고용을 마무리한 삼성전자(005930)서비스와는 다른 행보다. 삼성전자서비스의 경우 직고용 발표 직후 사장들 개개인과 합의를 우선 진행한 뒤 7,400여명의 직원 채용을 확정했다. 반면 LG전자는 사장들과의 협상이 마무리되기 전에 직원 직고용 절차를 먼저 서둘렀다.

업계에서는 이 같은 차이가 노조 유무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고 있다. 무노조인 삼성전자서비스와 달리 한국노총 소속 노조가 있는 LG전자 입장에서는 일부 서비스센터 직원들의 민주노총 가입 움직임을 사전에 차단할 수밖에 없었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부하 직원들만 일단 채용된 상황이라 사장들의 협상력도 자연스럽게 높아졌다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시각이다.

사장들을 직접 고용하기보다는 권리금·위로금 등을 통해 합의를 본 삼성전자서비스와 달리 사장들까지 직고용하려는 LG전자의 전략도 협상 장기화의 한 요인으로 꼽힌다. 삼성전자서비스의 경우 ‘노조 와해’ 의혹 제기로 사실상 사장들과 중도 계약 해지 상태에서 협상을 진행했다. 이 때문에 직원들과 함께 고용된 서비스센터 사장은 5명 내외에 불과하고 나머지 100여개의 서비스센터 사장 대부분은 합의금을 받고 사업을 접었다. 이에 반해 LG전자는 4월30일부로 모든 협력사와의 도급계약이 자동 종료돼 권리금·위로금 등을 지급할 법적 의무가 없는 상태다. 대신 사장 대다수를 팀장급으로 채용하는 카드를 내밀었다. LG전자 관계자는 “법률자문 결과 LG전자는 계약상 협력사 사장들에게 권리금 등 보상금을 지급할 근거가 없어 삼성과는 조건이 다르다”며 “서비스센터 사장들이 LG전자에 입사하면 지금보다 30%가량 처우가 좋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 노동 전문 변호사는 “직원을 먼저 고용하고 사장들과 협의하는 것 자체에 법적 문제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며 “다만 지원금 등 금액 문제가 핵심사안이 될 수는 있다”고 전망했다. /윤경환·최성욱·오지현기자 ykh22@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