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남방에서 찾는 제조업의 미래]"베트남은 생산·소비 결합된 新시장"...작년에만 822개사 진출

<2> ‘메이드-인 코리아’의 전진 기지, 베트남
대외개방으로 수출환경 유리하고
주변국 비해 정치적 상황도 안정
젊은인구·우수한 노동력도 강점
글로벌 시장공략 핵심 거점 역할
고속성장속 최신기술·과거 공존
에너지 분야 등 투자 기회 풍부

베트남 수도 하노이에서 차로 두 시간 정도 걸리는 하이퐁에 위치한 LG전자 생산공장에서 현지 직원들이 세탁기를 조립하고 있다. /하이퐁=고병기기자 
한국 제조 업체들이 베트남을 생산과 소비가 결합된 새로운 시장으로 만들고 있다. 포스트 차이나로 베트남을 선택했던 2000년대 후반 1세대 기업들과 달리 최근 베트남에서 성과를 올리고 있는 2세대 기업들은 베트남 공장을 글로벌 수요에 맞춰 변화시키고 있다. 지난달 12일 베트남 최대 항구도시인 하이퐁에서 만난 백인재 LS전선 베트남·미얀마 지역 부문장은 베트남을 ‘최신 기술과 과거’가 공존한다고 요약했다. 모빌리티·사물인터넷(IOT) 등 미래 산업들이 속속 베트남으로 밀려들지만 인건비를 비롯한 비용을 축소할 수 있는 요인들이 남아 있다는 의미다. 한국 제조 업체들은 베트남을 중국에 이은 ‘세계의 공장’이자 소비시장으로 키우고 있다.


1990년대 후반 일찌감치 베트남에 진출한 LS전선은 최근 들어 베트남 투자에 가속을 붙이고 있다. 1996년 하이퐁에 설립한 전력케이블 생산법인인 LS비나는 현재 베트남 시장점유율 1위를 차지한다. 특히 LS비나는 내수시장뿐 아니라 싱가포르와 유럽 등 글로벌 시장 공략의 핵심거점 역할을 하고 있다. 현재는 소재 산업 진출과 생산량 확대를 위해 추가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백 부문장은 “투자가 완료되고 이달부터 생산이 시작되면 하이퐁 공장의 연간 판매 규모가 4억달러에서 7억달러 수준까지 올라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 제조 업체들의 베트남 투자는 숫자를 통해서도 잘 나타난다. 수출입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베트남에 진출한 신규 법인 수는 전년 대비 17.9% 늘어난 822개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투자금액도 역대 최대인 31억6,200만달러를 기록했다. 현대차(005380) 등이 베트남에서 탄탄한 입지를 다지고 있다. 찌엔 부국장은 “한국 기업들이 베트남의 수출과 경제발전에 큰 역할을 하고 있어 정부에서도 높게 평가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에너지·하이테크·청정기술 관련 분야에서 투자 기회가 많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하노이=고병기기자 staytomorrow@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