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알려진 두 유통공룡의 고백에는 현재의 위험요소들이 단시간에 그치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가 담겨 있다. 제대로 된 해법을 찾지 못하고 지금과 같은 상황이 이어질 경우 투자자 피해는 물론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 역시 시장에서 살아남기 어렵다. 이마트(139480)는 “국내외의 다양한 요인들로 향후 국내 경기가 크게 둔화되거나 경기침체가 지속될 경우 이마트 및 연결 대상 종속회사의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핵심투자위험’ 1순위는 옥죄는 정부 규제=양사는 투자를 저해하는 핵심 리스크로 정부 규제를 꼽았다. 유통산업발전법, 최저임금제, 대규모유통업법 개정안, 상품권법 등 다양한 법안 및 규제가 시행 또는 계류 중이다. 최근 국회에서 논의가 진행되는 유통산업발전법 개정안은 의무휴업으로 영업 일수 규제를 받는 주체를 대형 복합쇼핑몰까지 포함하고 있다. 전통시장과 대형마트를 이분법적으로 나눈 채 규제 대상을 정하는 것은 유통시장의 성장을 위해 바람직하지 않다는 지적은 오랫동안 제기돼왔다. 특히 새롭게 규제 대상이 될 가능성이 높은 복합쇼핑몰의 경우 소상공인 자영업자마저 더 큰 피해가 부메랑이 돼 돌아올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본지가 최근 스타필드·롯데몰 등 복합쇼핑몰 점주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복합쇼핑몰 점포 70~80%를 자영업자가 운영하고 있으며 전체 매출의 20%가 일요일에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마트는 “유통 업계 전반에 대한 규제로 신규 출점이 어려워짐에 따라 추가적인 매출 둔화 요인이 발생할 수 있다”며 “법안 및 정책 등이 시행되고 관련 규제가 더욱 강화될 경우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밝혔다.
◇과당경쟁 등으로 제 살 깎아먹는 치킨게임=정부 규제뿐 아니라 업계 간 경쟁 심화도 핵심 위험요소다. 업종 진입장벽이 높아 과점 체제의 변동 가능성은 낮은 편이나 대형마트 3사는 집객력 유지를 위해 상시적인 가격 인하 경쟁을 이어가고 있다. 양사는 이는 영업수익성을 약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털어놓았다. 하루가 다르게 반값 전쟁을 펼치며 ‘10원 전쟁’을 재연한 ‘100원 전쟁’을 불사하고 있는 게 현실이다.
타 유통 업체로의 소비 이전 위험도 무시할 수 없다. 소비자의 소비 패턴이 변화하고 정보기술(IT) 및 모바일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온라인쇼핑·해외직구 등이 늘어나면서 기존 대형마트나 백화점과 다른 형태의 온라인 유통 업체와의 경쟁도 심화하고 있다. 공급업체와의 마찰 등에 관한 위험도 언급했다. 롯데쇼핑(023530)은 “공급업체와 대형마트의 가격협상에서는 유통력에 우위를 갖는 대형마트가 협상을 주도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면서도 “공급업체와의 가격협상에서 발생하는 마찰로 물품 공급에 차질이 생길 경우 대형마트의 매출 감소 외에도 이미지 훼손에 따른 잠재적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박성규기자 exculpate2@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