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제로 실적 험난 투자 유의" 유통공룡들의 ‘씁쓸한’ 고백

이마트·롯데쇼핑, 이례적 공시


이마트(139480)와 롯데쇼핑(023530)이 최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 시스템에 올린 ‘투자설명서’에서 투자자들에게 “투자 시 유의해야 한다”고 밝힌 것으로 확인됐다. 이마트와 롯데쇼핑은 지난해 어닝쇼크에 가까운 실적을 내놓았는데 올해 역시 실적 개선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직접 고백해 이례적이라는 지적이다. 10일 금감원에 따르면 이마트와 롯데쇼핑은 최근 투자설명서를 공개하고 투자자들에게 손실이 발생할 수 있는 위험요소를 뜻하는 ‘핵심투자위험’을 설명했다. 이들은 핵심투자위험으로 정부 규제, 국내 대형마트 사업의 경쟁 심화, 타 유통업태로의 소비 이전 위험, 공급업체와의 마찰 등에 대한 위험을 꼽았다.

이마트는 지난해 창립 26년 만에 처음으로 4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다. 롯데쇼핑도 지난해 중국 할인점 사업 전면철수에 이어 전년 대비 25% 이상 감소한 영업이익을 내놓았다. 국내 유통업계를 대표하는 이마트와 롯데쇼핑이 지난해 내놓은 성적표가 부실해 두 기업의 주가는 지난 3월 말 나란히 52주 신저가를 기록하기도 했다. 증권업계에서도 이들 업체에 대한 부정적인 의견이 나오고 있다. 차재헌 DB금융투자 연구원은 “올해 이마트는 상시적 초저가 전략과 셀프계산대·전자가격표시제 등을 통한 비용 효율화로 수익성 개선을 계획하고 있다”면서도 “온오프라인의 전방위적 경쟁이 심화하는 상황에 전반적인 오프라인 점포의 효율성이 급격히 하락하고 있어 2019년 이익 개선폭에 대한 기대감은 낮춰야 할 것으로 판단한다”고 밝혔다. 롯데쇼핑에 대해서도 부진한 점포의 구조조정은 긍정적이나 올해는 비용부담이 있어 본격적인 실적 개선은 내년부터 가시화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반값 전쟁 등으로 매출을 높이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지만 최저임금 인상, 정부 규제, 오프라인 경쟁업체뿐 아니라 쿠팡·티켓몬스터 같은 온라인 유통업계와의 경쟁 등으로 유통환경은 녹록지 않아 보인다”고 말했다.


두 유통공룡의 고백에는 현재의 위험요소들이 단시간에 그치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가 담겨 있다. 제대로 된 해법을 찾지 못하고 지금과 같은 상황이 이어질 경우 투자자 피해는 물론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 역시 시장에서 살아남기 어렵다. 이마트는 “국내외의 다양한 요인들로 향후 국내 경기가 크게 둔화되거나 경기침체가 지속될 경우 이마트 및 연결 대상 종속회사의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핵심투자위험’ 1순위는 옥죄는 정부 규제=양사는 투자를 저해하는 핵심 리스크로 정부 규제를 꼽았다. 유통산업발전법, 최저임금제, 대규모유통업법 개정안, 상품권법 등 다양한 법안 및 규제가 시행 또는 계류 중이다. 최근 국회에서 논의가 진행되는 유통산업발전법 개정안은 의무휴업으로 영업 일수 규제를 받는 주체를 대형 복합쇼핑몰까지 포함하고 있다. 전통시장과 대형마트를 이분법적으로 나눈 채 규제 대상을 정하는 것은 유통시장의 성장을 위해 바람직하지 않다는 지적은 오랫동안 제기돼왔다. 특히 새롭게 규제 대상이 될 가능성이 높은 복합쇼핑몰의 경우 소상공인 자영업자마저 더 큰 피해가 부메랑이 돼 돌아올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본지가 최근 스타필드·롯데몰 등 복합쇼핑몰 점주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복합쇼핑몰 점포 70~80%를 자영업자가 운영하고 있으며 전체 매출의 20%가 일요일에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마트는 “유통 업계 전반에 대한 규제로 신규 출점이 어려워짐에 따라 추가적인 매출 둔화 요인이 발생할 수 있다”며 “법안 및 정책 등이 시행되고 관련 규제가 더욱 강화될 경우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밝혔다.

◇과당경쟁 등으로 제 살 깎아먹는 치킨게임=정부 규제뿐 아니라 업계 간 경쟁 심화도 핵심 위험요소다. 업종 진입장벽이 높아 과점 체제의 변동 가능성은 낮은 편이나 대형마트 3사는 집객력 유지를 위해 상시적인 가격 인하 경쟁을 이어가고 있다. 양사는 이런 경쟁이 영업수익성을 약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털어놓았다. 하루가 멀다 하고 반값 전쟁을 펼치며 ‘10원 전쟁’을 재연한 ‘100원 전쟁’을 불사하고 있는 게 현실이다.

타 유통 업체로의 소비 이전 위험도 무시할 수 없다. 소비자의 소비 패턴이 변화하고 정보기술(IT) 및 모바일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온라인쇼핑·해외직구 등이 늘어나면서 기존 대형마트나 백화점과 다른 형태의 온라인 유통 업체와의 경쟁도 심화하고 있다. 공급업체와의 마찰 등에 관한 위험도 언급했다. 롯데쇼핑은 “공급업체와 대형마트의 가격협상에서는 유통력에 우위를 갖는 대형마트가 협상을 주도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면서도 “공급업체와의 가격협상에서 발생하는 마찰로 물품 공급에 차질이 생길 경우 대형마트의 매출 감소 외에도 이미지 훼손에 따른 잠재적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박성규기자 exculpate2@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