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인민최고대표자'이어 '공화국 무력 최고사령관' 오른 김정은

종전 조선인민군 최고사령관에서 군 관련 호칭 변경
공식적인 당정군 국가수반 지위 확고히하는 듯

조선인민최고대표자이어 공화국 무력 최고사령관 오른 김정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김일성 주석의 생일(태양절)인 15일 노동당 정치국 위원들과 국무위원회 위원들을 대동하고 김일성 주석·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시신이 안치된 금수산태양궁전을 방문했다. 사진은 이날 조선중앙TV가 공개한 것으로, 앞줄 왼쪽부터 김재룡 내각 총리, 최룡해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 겸 국무위원회 제1부위원장, 김정은 위원장, 박봉주 국무위원회 부위원장, 리만건 당 부위원장의 모습./연합뉴스

북한이 김정은에 대한 군 수식어를 ‘조선인민군 최고사령관’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무력 최고사령관’으로 호칭해 주목된다.

2차 북미회담결렬 이후 포스트하노이 정국을 안정적으로 운영해야 하는 김 위원장은 2기 권력 재편을 통해 북한의 실질적 통치자일 뿐 아니라 대외적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대표하는 국가 수반임을 강조하려는 것으로 분석된다.

조선중앙통신과 조선중앙방송 등 북한 매체들은 15일 김정은 위원장의 금수산태양궁전 참배 소식을 보도하면서 김 위원장에 대해 “조선노동당 위원장이시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무위원회 위원장이시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무력 최고사령관이신 우리 당과 국가, 군대의 최고영도자”라고 지칭했다.

북한 매체들은 노동당 제7기 4차 전원회의(4.10)와 최고인민회의 제14기 1차 회의(4.11∼12)를 통해 김정은 2기 정권이 공식 출범하기 전까지만 해도 김 위원장의 군 직책 관련 수식어를 “조선인민군 최고사령관”이라고 호칭했다.


그러나 최고인민회의 이후부터 일제히 ‘조선인민군’ 대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무력 최고사령관’이라는 수식어를 사용하며 그가 북한의 군 통수권자임을 부각했다.

지난 14일 국무위원장 재추대를 경축하는 중앙군중대회에서 연설한 한 군 인사는 김정은 위원장을 “공화국무력 총사령관”이라고 부르기도 했다.

이번 최고인민회의에서 헌법 개정이 이뤄지기 전인 2016년 개정 헌법의 제102조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무위원회 위원장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전반적 무력의 최고사령관으로 되며 국가의 일체 무력을 지휘 통솔한다”고 명시돼 있다. 이미 북한의 정규군과 비정규군, 내무군이라는 실질적인 무력과 군 지휘체계를 가진 인민보안성 등 국방업무 전부를 통솔하는 김 위원장이 명칭을 새롭게 고친 것은 유일지도체제를 확고히 하기 위한 조치들로 풀이된다.

조선인민최고대표자이어 공화국 무력 최고사령관 오른 김정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12일 노동당중앙위원회 본부청사에서 새로 선출된 당 및 국가지도기관 인사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평양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앞서 북한은 국무위원장 앞에 ‘전체 조선 인민의 최고대표자이며 공화국의 최고 영도자’라는 수식어를 붙여 공식적으로 대외 국가수반 자리에 오른 것 아니냐는 분석이 제기됐다.

태영호 전 영국주재 공사는 14일 자신의 블로그에 지난주(4월 8일~14일) 북한 언론동향을 분석한 글을 게재하고 “(김 위원장이) 시정연설에서 ‘나는’ 이라는 표현을 여러번 사용하였는데 북한의 당과 국가를 대표하여 정책방향을 밝히는 시정연설에서 ‘우리는’, ‘우리 당과 공화국정부는’ 라는 기존 공식표현들 대신 ‘나는’이라는 표현이 들어간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김 위원장의 ‘유일지도체제’가 확고하게 자리잡았다고 평가했다.
/박우인기자 wipark@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