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는 25일 ‘한국인 원자폭탄 피해자 지원위원회’를 열어 한국인 원자폭탄 피해자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생존자가 2,283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원폭 피해자는 1945년 당시 일본에 거주하다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원자폭탄이 투하되면서 직간접적으로 노출된 피해자를 일컫는다. 당시 한국인 피해자 약 7만명 중 4만명이 피폭으로 사망했고 생존자 3만명 중 2만3,000여명이 귀국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번 실태조사는 지난 2016년 원폭피해자지원특별법 제정 이후 정부 차원에서 실시한 첫 실태조사다. 지난해 6월부터 올해 3월까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조사를 진행한 결과 원폭 피해자로 등록된 생존자는 2,283명이었고 70대가 63%였고 80대가 33%를 차지했다. 원폭 피해자는 암 유병률에서도 동일 연령대보다 높은 수치를 보였다. 2017년 기준 최근 5년간 남성 피해자의 암 유병률을 보면 전립선암 기준 인구 10만명당 9,833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70세 이상 평균 남성의 유병률인 1,465명보다 월등히 높은 수치다. 같은 기간 여성 피해자의 인구 10만명당 갑상선암 유병률도 1,827명으로 70세 이상 평균 여성 유병률 317명보다 높았다.
원폭 피해자와 그 2세를 대상으로 인터뷰와 면접조사를 실시한 결과 피해자의 23%는 장애가 있었고 51%는 자신의 건강수준이 나쁘다고 응답했다. 36%는 기초생활보장수급자였고 월평균 가구소득은 138만9,000원이었다. 같은 연령대와 비교한 한국인의 장애율은 17.3%, 기초생활보장수급자율 5.7%, 월평균 가구소득 440만원에 비춰 보면 원폭 피해자가 상대적으로 신체·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피해자들은 방사능 피폭 등에 대한 우려로 결혼이나 출산을 포기하는 경우도 있었다. 원폭 피해자 1세대는 11%, 2세대는 9.5%가 피폭으로 인해 사회적 차별을 받은 적이 있다고 응답했다. 특히 이들은 피폭에 따른 막연한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서라도 정부 차원의 역학조사가 이제라도 이뤄져야 한다고 답했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이번 실태조사 결과는 원폭 피해자에 대한 국가 차원의 지원이 1세대에 그칠 것이 아니라 2세대까지 지속적으로 이어져야 한다는 점을 보여준다”라며 “올해 안에 피해자 2세의 건강상태 등을 심층적으로 파악하는 등 각종 후속조사를 실시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지성기자 engine@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