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운 시황 회복과 친환경 선박 의무화 규제 강화가 예상되는 상황에서 국내 해운사들이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적극적인 인수합병(M&A)에 나서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삼정KPMG는 7일 발간한 ‘해운업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이라는 제목의 보고서에서 이같이 주장했다.
보고서는 “올해 세계 벌크선과 탱커선, 가스선, 컨테이너선 등의 해상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고, 국제해사기구(IMO)의 환경규제와 글로벌 얼라이언스 재편도 예고된 상태”라며 “국내 해운선사들의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전 세계 해운 물동량은 전년 대비 2.9% 증가할 전망이다.
지난 2017년 한국의 해상운송 수지는 47억 달러로 최대 적자를 기록했고, 국내 100대 해운사의 27% 이상이 부채비율 400%를 넘어서며 유동성 위기가 지속되고 있다. 하지만 한국은 여전히 지난해 기준 국적선과 외국적선을 포함해 총 1,626척과 선복량 7,728만 최대적재화물톤수(DWT)로 글로벌 점유율 4.05%를 차지하는 세계 7위의 해운 강국이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는 ‘해운 재건 5개년 계획(2018~2022)’을 발표하며 2016년 29조원이던 해운업 매출액을 2022년까지 51조원으로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보고서는 “한국은 지리적 특성상 수출입 화물의 99.7%가 해운에 의존하고 있고, 국내 대표산업인 조선과 철광 등 전후방 산업연계도 매우 높은 특징을 갖고 있어 해운 산업 경쟁력 유지가 필수적”이라고 평가했다.
보고서는 국내 해운사의 경쟁력 제고 전략으로 ‘M&A를 통한 규모의 경제 실현’을 꼽았다. 이미 글로벌 선사들은 해운 시장 내 과잉 공급과 운임 급락으로 인한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적극적인 M&A를 하고 있다. 2017년 하파크로이트의 UASC 인수를 시작으로 일본의 3대 컨테이너선사의 합병 등 10~20위권 중급 해운사들의 입수합병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또 글로벌 해운사들은 얼라이언스를 통해 서비스 범위 확장, 원가절감, 효율성 확대 등 전략적으로 규모의 경제 효과를 활용하고 있다.
보고서는 M&A가 강화되는 글로벌 환경규제 대응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국제해사기구(IMO)는 2020년부터 선박 연료의 유황산화물 규제를 강화하겠다고 발표했다. 모든 선박들은 공해상에서 연료유의 황 함유량을 기존의 3.5%에서 0.5% 이하로 대폭 낮춰야 한다. 기존 선박의 경우엔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장착하거나 액화천연가스(LNG) 엔진으로 교체해야 한다. 또한 오염원 배출이 많은 벙커C유 대신 저유황유로 연료를 바꿔야 한다. 이외에도 해운업계는 2020년까지 연간 온실가스 배출량을 2008년 대비 20%, 2050년까지 50%로 감축해야 해 선박기관과 부속설비 등 대대적인 투자가 필요한 상황이다.
박주흥 삼정KPMG 해운업 M&A 담당(상무)은 “오랜 조정 기간을 거치면서 바닥을 다진 해운업계가 수급불균형 개선에 따라 곧 회복세를 나타낼 것”이라며 “해운시장의 판도가 바뀔 수 있는 황산화물 규제 등의 이슈를 주시하고, 친환경 LNG 연료 엔진 선박에 대한 운용방안을 모색할 뿐만 아니라 정부의 다양한 해운정책 지원을 통해 미래 친환경 경쟁에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양사록기자 sarok@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