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 기흥에 2025년까지 '미래형 복합자족도시' 조성

경기도·용인시 협약…270만㎡에 '플랫폼시티' 건설
이재명"용인플랫폼시티는 토지불로소득 공공이 환수하는 시범사업"

7일 경기도청 상황실에서 이재명(왼쪽 두번째) 경기도지사와 백군기 용인시장(왼쪽 세번째), 이헌욱(왼쪽 첫번째) 경기도시공사 사장, 김한섭(왼쪽 네번째) 용인도시공사 사장이 ‘경기 용인 플랫폼시티 조성 MOU’를 체결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경기도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보정·마북·신갈동 일원 270만㎡(약 83만평) 부지에 첨단산업과 상업, 주거, 문화·복지 공간이 어우러진 미래형 복합 자족도시가 들어선다.

이재명 경기도지사와 백군기 용인시장, 이헌욱 경기도시공사 사장, 김한섭 용인도시공사 사장은 7일 경기도청에서 이런 내용을 담은 ‘경기용인플랫폼시티 조성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협약에 따라 경기도와 용인시는 개발사업 인허가와 국내외 기업 유치활동 등 사업추진을 위한 행정지원을하게 된다. 경기도시공사와 용인도시공사는 사업계획 수립과 조사·설계, 용지보상, 부지조성 등 사업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 노력하기로 했다. 구체적인 사업 참여 여부와 지분 등의 구체적 사항은 기관별로 사업 타당성을 검토한 후 협의를 통해 다시 결정하기로 했다.

도는 올 하반기까지 지방공기업평가원의 타당성 검토를 거쳐 사업 참여기관이 확정되면 내년부터 기본계획과 개발구상에 착수해 2022년 착공하고 2025년 준공할 예정이다

이 지사는 “토지 개발은 공공의 자산을 활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개발 인허가를 통해 생겨나는 초과 불로소득은 공공이 환수해야 한다”면서 “(플랫폼시티를) 체계적으로 잘 개발해서 기반시설도 충분히 확보하고 초과 불로소득은 용인시민, 경기도민의 삶을 개선하는데 유용하게 썼으면 한다”고 강조했다.

백 시장은 “용인시가 난개발로 고생을 했는데 이번 플랫폼시티는 난개발이 되지 않도록 진행할 것”이라며 “광역교통 개선대책도 마련하고 우수기업도 유치해서 자족기반도 갖춘 도시로 개발하겠다”고 말했다.

정춘숙 국회의원은 “용인플랫폼시티는 용인반도체클러스터와 함께 용인의 100년을 기획하는 큰 프로젝트”라며 “공공의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용인시와 경기도가 긴밀히 협력해 용인시를 명품도시, 4차산업혁명을 선도하는 도시로 만들어 달라”고 말했다.


플랫폼시티 예정 지역은 GTX(수도권광역급행철도) 용인역과 분당선 구성역, 영동·경부고속도로가 교차하는 곳으로 교통여건이 좋다.

주변에 녹십자, 일양약품 등 대형 제약사 본사와 제조?연구개발(R&D) 시설이 분포해 있고, 인근 마북 연구단지(R&D)에는 현대모비스, 현대자동차 연구소 등 9개 기업체가 입주해 있어 산업기반도 탄탄하다.

용인시는 플랫폼시티를 2만여명의 인구가 거주하는 지식기반 첨단산업과 상업, 업무, 광역교통 및 환승 체계, 환경친화적 명품 주거단지가 함께하는 자족도시로 개발한다는 구상이다. 최근 SK하이닉스 입주가 확정된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의’와의 시너지 효과도 기대 할 수 있다.
용인플랫폼시티 위치도

이 사업은 난개발 방지를 위해 공공주도 개발로 진행된다. 시는 지난 90년대 초반부터 2000년대 중반까지 적정 규모의 기반시설과 교통대책을 세우지 않고, 개발이익만을 추구하는 민간주도의 개발이 추진되면서 난개발이 많은 지역이었다. 시는 이런 과거를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 지난해 4월 플랫폼시티 조성 예정지를 ‘개발행위허가 제한지역’으로 지정했다. 실제로 용인시의 제한 고시 이전까지 이 지역에는 민간 아파트, 산업단지 등 10여건의 쪼개기식 개발 시도가 있었다.

시는 지난해 4월 플랫폼시티 예정지를 개발행위허가 제한지역으로 지정했으며, 같은 해 11월 승인된 ‘2035 도시기본계획’에 공공주도 개발계획을 반영했다.

용인시 추산에 따르면 플랫폼시티 조성에는 5조원가량의 사업비가 투입된다. 시는 보정·마북·신갈동 플랫폼시티에 1만1,000여호의 주택을 공급할 계획이다.

경기도시공사는 단지 조성 단계에 2만4,000명의 고용유발 효과와 더불어 입주가 시작되는 2025년에는 상근종사자가 4만여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도는 최근 SK하이닉스 입주가 확정된 ‘용인반도체클러스터’와도 시너지 효과를 기대하는 등 경기도를 세계적인 반도체 생산기지로 만드는 한축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윤종열기자 yjyun@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