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센티브 팍팍...'귀한 몸' 개발자 모셔라

[연중 채용문 활짝 연 IT업계]
티맥스, AI·클라우드 부문 등
상반기에만 100명 수시 채용
카카오 '월간 카카오'로 매월 뽑아
석·박사생에 2,000만원 학비 지원
네이버, 임직원에 스톱옥션 선물 등
인력난에 내부이탈 방지도 안간힘


국내 정보기술(IT) 기업들이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 등 4차 산업혁명 관련 인재 영입을 위해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 연중 내내 채용문을 활짝 열어 젖혀도 개발자 구하기가 쉽지 않자 대학을 찾아 학생들을 선점하거나 내부인력 이탈 방지를 위한 인센티브 지급도 마다하지 않는다.

9일 IT 업계에 따르면 소프트웨어(SW) 기업 티맥스는 상반기에만 연구부문 신입 인력을 100명 이상 수시 채용한다. 티맥스는 최근 매년 수백명 규모의 신입사원을 채용하며 운영체제(OS)와 클라우드 플랫폼을 포함해 미들웨어,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의 역량 키우기에 주력하고 있다. 김동철 티맥스소프트 대표는 “지속적인 연구원 채용을 통해 기존 SW 제품은 물론 OS, 클라우드, 인공지능(AI) 등 신기술 개발에 더욱 박차를 가할 것”이라며 “회사의 성장과 글로벌 경쟁력 확보는 물론 연구원 개인의 발전과 성장도 함께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카카오는 우수 인재들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영입하기 위해 이달부터 월 단위 공개채용 방식 ‘월간 카카오’를 도입했다. 해당 시점의 수요가 많은 카카오 내 서비스, 직군, 조직 등을 선정해 월초 공고하는데 현재 카카오톡과 포털 서버 개발자를 뽑고 있다.


안랩(053800)은 블록체인 연구개발과 AI 기반 SW 개발 등 4차 산업혁명의 핵심 분야의 전문가들을, SK텔레콤은 AI와 양자보안, 클라우드플랫폼, 빅데이터 분석 엔진 개발 전문가를 찾고 있다.

롯데정보통신은 상반기 신입공채와 별개로 프로그래밍, 보안, UI·UX(사용자 인터페이스·경험), 디자인, 신사업기획 분야에서 학점이나 어학점수 등 스펙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지원자의 능력만 평가하는 ‘스펙(SPEC)태클’ 채용을 진행 중이다.

IT업계 전반적으로 4차산업혁명 관련 채용이 수시로 이뤄지고 있지만 생각만큼 수급이 쉽지 않은 여건이다.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는 AI·클라우드·빅데이터·증강현실(AR)·가상현실(VR) 등 분야에서 2018~2022년 신규 SW기술 인력 3만2,000여명이 부족할 것으로 내다봤다. 업계의 한 인사담당자는 “개발자들의 몸값을 계속 올리지만 실력 있는 개발자를 찾기 어렵다”고 하소연했다. 지난 3월 구글코리아가 클라우드, IoT, 머신러닝 등 분야 대규모 경력 채용 행사를 연 것도 같은 맥락이다. 구글의 한 관계자는 “수시로 개발자 채용 공고를 냈는데도 충원이 안돼 채용설명회를 열었지만 여전히 인력이 부족하다”고 전했다.

앞으로 개발자 찾기가 더욱 어려워질 것이라는 전망에 주요 기업들은 대학을 찾아 미리 인재를 선점하는 전략도 펼친다. 카카오는 AI 분야 석·박사 재학생에게 최대 연 2,000만원의 학비와 연구비를 지원하고 해외 학회 참가를 위한 왕복항공권 등 비용을 제공하는 프로그램도 별도로 가동 중이다. ‘연구 인턴십’ 프로그램 참가자에게는 인턴십 기간 중 카카오데이터를 이용해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권한을 제공한다. 또한 인턴십 기간 중 수행한 연구로 논문 게재 시 최대 ,1000만원의 인센티브도 지급한다. 카카오의 한 관계자는 “인재를 미리 영입하기 위한 조치”라며 “국내외 학술대회 참가자와 교류도 강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네이버 역시 주요 대학 컴퓨터 관련 전공자를 선발해 장학금을 제공하고 대학 동아리와 학회 활동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외부 수혈 못지않게 집토끼 지키기도 주요 기업 인사담당자들의 과제다. 네이버는 지난 3월 향후 5년간 1,500억원 규모 임직원 스톡옵션(주식보상)안을 발표했다. 주요 임원과 인재 637명에게 현재 주가의 1.5배를 달성할 때 행사할 수 있는 스톡옵션 총 83만7,000주(발행주식의 0.3%)를 주기로 했는데, 3년 뒤 여건에 따라 1인 평균 2억5,000만원이 넘는 주식을 행사할 수 있다. 네이버는 “치열한 인재 쟁탈전에서 주주와 임직원이 함께 성장하는 보상 체계가 필요했다”고 밝혔다.
/임진혁·권경원기자 nahere@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