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레츠 라비 "과거 성공여부가 투자기준 될 수 없어..권위에 도전하고 실패를 경험 삼아라"

■이스라엘 테크니온공대 페레츠 라비 총장 인터뷰
세계 대학의 사업화 롤모델 부상
창업 1,000개사 생존, 10만 일자리
"기초-응용 연구 동전의 양면 같아
사업화 장려..국가요구 부응해야"

페레츠 라비 이스라엘 테크니온공대 총장

“테크니온 등 이스라엘에서는 권위에 도전하고 위험을 감수하며 실패를 경험으로 생각합니다.”

대학의 사업화에 관한 세계적 롤모델로 손꼽히는 테크니온공대의 페레츠 라비(사진) 총장은 12일 본지와의 e메일 인터뷰에서 “테크니온 출신 기업은 현재 1,000개가 살아남아 10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나스닥에도 11개사나 상장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지난 2009년부터 테크니온공대 총장을 맡고 있는 그는 오는 16일 ‘서울포럼 2019’ 두 번째 세션(사업화 없는 R&D는 허상이다)에서 ‘기초연구와 응용연구는 동전의 양면’이라는 주제로 발표한다. 다음은 일문일답.

-이스라엘 정부의 연구개발(R&D) 평가원칙은.

△품질이나 기술과 제품의 잠재적 상품성을 기준으로 한다. 이전에 성공했느냐, 실패했느냐는 고려 대상이 아니다. 독립적 전문가가 매긴 가치평가로 결정한다. 사업이 실패하더라도 정부에 투자금을 갚을 필요가 없다.

-이스라엘이 스타트업 국가로 불리는 배경은. 미국 실리콘밸리 진출이나 나스닥 상장도 활발한데.

△세계에서 1인당 창업을 가장 많이 한다. 테크니온은 창업과 기업가정신을 장려한다. 졸업생이 지난 20년간 2,000개가 넘는 회사를 설립했고 이 중 반이 살아남았다. 이 회사들은 10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했고 300억달러에 가까운 인수합병(M&A)을 했다. 지난 10년간 테크니온은 나스닥에서 거래되는 11개사를 포함해 90개 이상의 회사를 설립했거나 파트너가 됐다. 이스라엘인들은 교육, 군 복무, 유태인 전통에서 유래된 특별한 정신을 갖고 천부적인 기업가로 키워진다. 권위에 도전하고 위험을 감수하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고 실패를 학습경험으로 생각한다. 일부는 엘리트 기술부대 등에서 제대하자마자 창업하나 대부분은 대학 졸업 후 도전한다.

-테크니온의 혁신 생태계를 이끄는 원동력은.

△테크니온에는 T3(Technion Technology Transfer)가 있다. 교수와 학생의 발명을 사업화하기 위한 특허 등록과 보호, 투자자 찾기, 법적 도움 등을 제공한다. 사업화 수익은 대학과 교수진 구성원 간에 균등하게 배분한다. 이스라엘 대학 교수진과 학생들은 기초연구와 응용연구를 병행하고 발명을 사업화하라고 권유받는다.


-기초연구와 응용연구의 융합을 어떻게 장려하나.

△양측은 동전의 양면과 같고 테크니온 DNA의 일부다. 국가의 요청에 부응해야 한다. 수자원과 관개시설, 국가 방위 등 여러 분야에서 응용연구는 필수다.

페레츠 라비 이스라엘 테크니온공대 총장. /사진제공=Annie Tritt

-테크니온이 다른 대학에 던지는 시사점은.

△대학의 기술이전 메커니즘 구축을 돕고 경험을 나눈다. 실례로 마이클 블룸버그 전 뉴욕시장의 대학 창립 프로젝트를 미국 코넬대와 함께 따 뉴욕시(루스벨트섬)에 혁신 캠퍼스를 건설했다. 이 대학원은 ‘JTCI(Jacobs Technion Cornell Institute)’로 혁신과 창의 생태계의 모델이 될 것이다.

-테크니온이 강조하는 인재상은.

△위험을 감수할 준비가 돼 있고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영리하고 독립적으로 생각하는 사람을 찾는다. 미래 산업과 과학계의 리더를 키운다.

He is..

1975년 테크니온에서 수면 연구를 시작해 임상 서비스를 했다. 미국과 유럽의 최고 수면 연구자상을 받았다. 의학부 학장, 자원개발·대외관계 부총장을 거쳐 2009년 총장으로 선출된 뒤 연구를 포기했다. 그는 “폭넓은 과학 주제와 행정 이슈에 관여해야 해 연구에 집중할 수 없다”며 “당신이 매우 중요한 일을 하고, 총명한 사람들과 함께 일하고, 일에 성공할 때 시간이 참 빨리 흐르지 않느냐. 취임 10년이 믿기지 않는다”고 털어놓았다.

/고광본 선임기자 kbgo@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