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윤리 실종' 도 넘은 대학교수들

미성년 자녀 논문 공저자로 등재
10년간 50개大 87명,139건 달해
부실학회 참가 교수도 500명 넘어

대학교수가 자신의 미성년 자녀를 논문의 공동저자로 올린 사례가 지난 10년간 50개 대학에서 87명, 건수로는 139건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 측의 부실검증 정황도 무더기로 확인돼 상아탑의 연구윤리 실종 수준이 도를 넘었다는 비판이 나온다. 국내에서 미성년 교수 자녀의 논문 공저자 등재 여부가 조사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13일 교육부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공동으로 지난 2007년 이후 10년간의 전현직 대학교수의 미성년 공저자 논문 등재 현황을 발표하며 이같이 밝혔다. 이들 139건의 논문을 대학에서 1차 검증한 결과 서울대 2명, 가톨릭대 2명, 포항공대·청주대·경일대 각 1명 등 교수 총 7명이 논문 12건에서 미성년 자녀가 참여하지 않았음에도 공저자로 올린 사실이 확인됐다. 연루된 자녀 8명 중 2명은 국내 대학에 진학했고 6명은 해외 대학에 갔다. 국내 대학에 진학한 청주대 교수의 자녀는 대입에 해당 논문이 활용되지 않았고 서울대 교수의 자녀는 아직 조사를 받지 않았다. 교육부는 해외 대학에도 학생들의 부정행위를 통보했다.


대학 측의 무더기 부실검증 정황도 드러났다. 나머지 논문 127건의 경우 대학들은 자녀가 연구에 실제 참여한 것으로 보인다고 판정했으나 교육부가 연구윤리 전문가로 검토자문단을 구성해 살펴본 결과 85건은 검증 과정에 문제가 있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교육부는 85건 중 국가 연구비가 지원된 51건은 과기정통부·국방부 등 연구비를 지원한 부처가 직접 재검증해 연구비 환수 조치 등을 검토하라고 통보했다. 대학별로는 서울대가 14건으로 1위였고 성균관대(10건), 연세대(8건), 경북대(7건) 등이 뒤를 이었다.

이어 미성년 교수 자녀에 국한하지 않고 미성년자가 공저자로 등재된 전체 논문을 대상으로 추가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56개 대학의 교수 255명이 논문 410건에 미성년자를 공저자로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를 포함해 미성년자가 공저자인 논문은 서울대(47건)에서 역시 가장 많이 나왔고 경상대(36건), 성균관대(33건), 부경대(24건), 연세대(22건) 등이 뒤를 이었다. 이 중 현재까지 대학의 자체 검증을 받은 논문은 211건이며 부정행위 2건(동의대·배재대)이 확인됐다.

아울러 부실학회로 드러난 와셋(WASET)과 오믹스(OMICS) 등 돈만 내면 심사 없이 논문을 발표할 수 있는 ‘사이비’ 학회에 참가한 국내 대학교수도 500명이 넘었다. 최근 5년간 이들 학회에 참가한 사례를 전수조사한 결과 90개 대학의 교수 574명이 두 부실학회에 총 808차례 참가했다. 전북대의 한 교수는 11회나 참가해 3,300만여원의 정부 연구비를 썼다. 참가한 교수를 학교별로 보면 서울대가 115명으로 가장 많았고 연세대(74명), 경북대(61명), 부산대(51명), 중앙대(48명), 전북대(45명)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한편 교육부는 교수 미성년 자녀 논문과 부실학회 참석 교수가 다수 있는 대학과 자체 조사 결과 및 징계가 부실하다고 보이는 대학에 대해 다음달부터 특별사안조사를 추진할 예정이다. 해당 대학은 서울대·연세대·성균관대·서울시립대·중앙대·국민대·단국대·세종대·한국교원대·부산대·전남대·전북대·경북대·경상대·강릉원주대 등 15개다. /김희원기자 heewk@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