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의 창]'동아시아 유조선전쟁' 발생한다면

이규삼 메리츠종금증권 강남센터 PB 1sub지점장

이규삼 메리츠종금증권 강남센터 PB 1sub지점장

“모든 국가는 자국의 선박 보호에 나서야 한다. 미국은 이미 세계 최대의 에너지 생산국이기에 그곳에 있을 필요가 없다.” 지난달 24일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트위터 내용이었다. 미국은 호르무즈 해협에서 이란과 갈등 중인데 대(對)이란 제재 부과 행정명령에 서명하기 전에 중국과 일본 등 각국이 직접 페르시아만 유조선 수송 보호에 나서야 한다는 주장을 한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트위터는 자주 논쟁적이고 자극적이지만 이번 트위터는 유난히 소름이 돋게 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번역된 저서도 베스트셀러 작가이자 지정학 전략가 피터 자이한이 2014년에 쓴 ‘The Accidental Superpower’와 2017년에 쓴 ‘The Absent Superpower’에서 언급한 미국의 부재에서 오는 페르시아만의 무질서 상황이 그대로 일어났고 미국의 반응에 대한 예견도 적중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책장에 두 권의 책이 있으리라 의심해본다.


미국이 해상경찰을 자처하면서 자유무역을 수호한 것은 소련의 견제, 안전한 원유수입 루트의 확보였다. 하지만 미국은 이미 셰일혁명으로 에너지 순수출국이며 버락 오바마 전 미국 대통령은 ‘2015년 연두교서’에서 “미국은 이제 더는 기름과 가스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된다”고 발표했다. 미국 시장의 개방과 자유무역 인센티브로 우방국을 확보했던 ‘브레턴우즈 체제’는 소련의 붕괴로 불필요해졌다. 트럼프 대통령의 언행에는 이런 자신감이 있고 대통령 선거 당시 힐러리 클린턴 후보도 보호무역을 강조했다. 미국의 현재 행보는 상수다.

역사적으로 석유의 원활한 유통의 핵심은 페르시아만에 있었고 미국의 방관에 가장 큰 충격을 받을 곳은 동아시아 국가들이다. 해군력이 있으며 석유수입 비중이 압도적인 국가는 자국 군함으로 유조선을 호위하게 될지도 모른다. 중국·일본·한국·대만은 해군역량과 간절함이 있다. 트럼프는 정확히 그 나라를 지목한 것이다.

미국이 지금보다 적극적으로 해상무역 질서에서 발을 뺀다면 동아시아 유조선전쟁이 발생하게 된다. 낙관주의로 무장해 무질서의 위기 속에서 기회를 찾아보면 터키, 싱가포르, 유조선·액화천연가스(LNG) 해운업체, 원자력발전 재부각, 안전자산으로 달러 정도가 있다. 터키 해협을 통과하는 항행의 자유를 보장했던 로잔 조약을 일방적으로 파기하고 통행세를 부과하면 향신료 교역의 영광을 터키가 누리게 된다. 구소련 국가들에 유일하게 안전한 원유 수출 경로이기 때문이다. 국내 투자자를 골탕먹였던 터키채권에 희망적인 시나리오다. 싱가포르는 세계 최대의 정유제품 저장시설을 구축하고 있다. 원유수출국들은 동아시아의 첨예한 갈등지역에 진입하기보다 안전한 중간 기착지로 활용할 가능성이 높다.

탈원전이라는 정부정책으로 최악의 시기를 보내는 원전 관련주들은 유가와 운임비가 급증하고 에너지 자립이 절실해지면, 낙관적인 투자자들은 정부정책의 변경을 예상하는 베팅을 하게 될지도 모른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